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뉴스/광고/홍보 이야기

K팝 어디까지 왔나.. 그 성공요소와 기업의 한류 마케팅

by Mash UP 2012. 2. 19.

얼마 전 소녀시대가 미국 TV 인기 토그쇼 <데이비드 레터맨쇼>에 출연한 것이 화제가 되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여기저기에서 K팝 K팝 말이 많습니다. K팝은 그럼 뭘까요?  전문가에 따르면, K팝은 한국음악을 총체적으로 지칭하는 것은 아니구요.. 주로 아이돌 가수, 그룹이 부르는 한국의 댄스음악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K팝의 노래와 안무를 따라하는 것을 '커버'(cover)라고 하는데요. .. 커버 ucc동영상이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확산하면서 태국 등 동남아에서는 이미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잡았고, 최근에는 유럽,일본, 미주 지역 젊은 층까지 확산했다고 하지요..

1세대 한류는 욘사마 열풍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요.. 드라마, 영화라는 장르에 국한된다면 2세대 한류는 전천후 아이돌이 등장하면서, 대중음악,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진출까지 대중문화 전반에 걸쳐 있다는 점이 큰 차이점입니다. 또한 1세대 한류의 인기는 아시아권에서 주로 열광했다면 2세대는 유럽, 미국, 아시아 전반 전 세계가 무대입니다. 

어렸을적 할리우드 스타나 홍콩 배우들을 선망하면서 자라난 기성 세대들은 역으로 한류가 전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현상이 신기하기도 하고 아직도 현실로 다가오지 않네요 ㅎㅎ 2011년 작년 한해 유튜브에서 K팝 동영상 조회 수를 총 집계했더니 총 235개국에서 약 23억 회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자료 출처 : SERI K팝의 성공 요인과 활용 전략 , 유튜브는 최근 한국 대중음악의 인기를 반영해서 K팝을 별도 음악 장르로 친절하게 분류하고 있다고 합니다.

전 세계의 K 팝 열풍에 대해서 이즘에  SERI 삼성경제연구소에서 K팝의 성공 요인과 기업의 활용전략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K팝이 가져온 新한류 바람과 K팝의 성공요인, 기업체에서 K팝 어떻게 활용해야할지 전략에 대해서 큰 그림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K팝 어디까지 왔나.. 한류지수 추이

* K팝 한류지수 추이 : 초창기 한류의 정점이었던 2004년을 100으로 보았을 때, 2011년 'K팝 한류지수'는 262로  7년만에 2.6배 급증했습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한류지수를  한국 음악 수출액과 음악 시장 규모(국내 인기도), 한국의 국제 수지 음향 영상 서비스 수입(해외 인기도), 구글 'Search Volume Index(온라인 인기도) 등을 종합해 추정하였음

K팝은 2000년대 이후 일본, 중국, 태국 등 아시아 주요 구각에 다수의 한국 아이돌 그룹이 진출하면서 시작된 것으로 첫 성공은 가수를 보아로 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아시아를 넘어 유럽과 미국 등 서구에서도 팬층이 확대되면서 신한류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고 합니다.

아이돌 그룹의 신 한류 열풍 일지

&nbsp;*자료 : 삼성경제연구소 국내 주요 일간지 및 해외 자료 종합

K팝은 직접적인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 뿐 아니라 국가 브랜드와 기업의 상품 인지도 제고와 연결되어 파급효과가 매우 크며, 차세대 대한민국의 성장동력이며 전략적 자산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新한류 경제적 파급효과를 2010년 기준 4조 9천억원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11.12.20)

세계 음악의 변방에서 언어와 문화 장벽을 극복하고 어떻게 해외 무대에서 성공하게 되었는지를 그럼 살펴보겠습니다.

K팝의 성공요인 (성공 다이아몬드 모델)

1) 생산자 : 기획사는 제작 프로세스를 시스템화하고 장기적 안목으로 해외시장 진출 준비
                 '캐스팅-트레이닝- 프로듀싱 -글로벌 프로모션'
2) 전달방식 :  자발적 확산이 가능한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 적극 활용 
                   비용과 시간 절감
3) 소비자   : IT에 친숙하면서도 적극적으로 문화를 향유하고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하는 능동적 소비자
4) 콘텐츠  : K팝 아이돌은 탄탄한 가창력, 안무, 매력적인 외모가 결합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끊임없는 변신을 연출하며 전 세계 소비자를 매료시킴

 

여기에서 K팝의 주역 아이돌 스타를 길러낸 한국의 기획사의 공로도로 평가해야겠습니다.  YG엔터테인먼트, SM엔터테이먼트는 몇 배수의 연습생을 뽑아 맹훈련시키고 이 중에서 경쟁을 통해 최고의 스타를 길러내는 시스템으로 운영되는데요.. 해외에는 없는 한국식 모델이라고 합니다. 미국의 기획사의 경우 연예인을 클라이언트(고객)으로 대하지 무명의 연습생을 스타로 육성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그만큼 투자를 많이 하기에 스타가 되고 나면 수익 배분에 있어서 나중에 기획사와 소송이 많은 것도 이런 연유라고 볼 수 있겟습니다. 이런 점에서 일본 기획사와 한국 기획사는 매우 유사한 형태를 띄고 있다고 합니다.

한가지 더 K팝의 경쟁력은 뭐니뭐니해도 콘텐츠 그 자체입니다.  기업화된 기획사에서 알고 보니 세계 최고 전문가를 동원해서 앨범의 완성도를 극대화했다고 합니다. SM엔터테인먼트는 300여 명의 해외 작곡가를 초청하여 매년 2회의 콘퍼런스를 개최하고 있다고 합니다. 소녀시대의 '소원을 말해봐'는 다국적 창작 작업의 예로 볼 수 있는데요.. 작곡은 북유럽 작곡가 그룹 Desing Group, 작사 및 편곡은 유영진, 안무는 일본계 미국인인 나카소네 리노가 참여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해외 시장 진출은 현지 파트너의 네트워크를 잘 활용한 점입니다.  기획 초기 부터 현지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불확실성과 리스크를 최소화 했습니다. 일본 시장 진출시에는 유니버셜뮤직재팬, 에이벡스 등 유력 기획사, 음반 사 등과 사전에 파트너십을 구축했다는 것입니다.  철저한 현지 프로모션과 유통망 확보 전략이 먹혔습니다.

K팝의 아이돌들도 많은 노력을 햇습니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직접 팬과 소통하면서 팬층을 더욱 확고히 다졌습니다. 슈퍼주니어는 385만명, 소녀시대는 246만명, 빅뱅은 207만명,2NE1은 193만 명의 페이스북 팬을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잠깐~ 콜레보레이션의 성공 사례

글로벌 패스트패션 기업 H&M + 마돈나 
화장품 제조회사 엘리자베스 아덴 + 브리트니 스피어스
빅뱅 헤드폰으로 유명한 소울바이 + 미국 힙합 거장 루다 크리스  : 사운드 디자인 설계
루이비통 +  미국힙합 가수 카니예 웨스트  : 공동 디자인 고가의 신발 (1000달러 이상)출시 직후 완판

한국무역협회 국제 무역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해외 소비자들은 상품 구입시 한류에 영향을 받는다고 중국, 일본, 대만, 베트남 1173명 대상으로한 조사에서 80% 이상이 그렇다는 답변을 했으며, 75%가 한류 문화를 접하고 상품을 구입하게 된 경험이 있다고 답변했습니다.

한류 바람으로  한국 기업들 세계 입맛 사로잡고 있는 기업 정리해 보았습니다~

K팝 한류 마케팅 아이스크림, 과자 

1. 빙그레 :  메로나  첫 수출국 브라질 진출, 제국의 아이들의 동국, 케빈이 광고 모델

2010년부터 한류 마케팅 실시, STAR DATE with ZE;A in BRAZIL 지원

K 팝커버댄스와 모창 uCC 영상 테스트를 실시 브라질 한류 팬 2명이 출연하는 여행 프로그램이 올 3월에 방
 이 스타 데이트 오디션에 1500여명 신청함

 

2. cj제일제당 CJ푸드빌 : 싱가포르 2011MAMA(Mnet Asian Music Awards_)

백설 브라우니

소개하여 현지 매장 입점에 성공함

 

3. 일본의 대상 ‘마시는 홍초’ 걸그룹 카라 효과

일본 시장 식초 점유율 1위를 달성함 광고 방영 후 3개월만에 221억 매출 올림

카라는 또한 지난해 일본 내 음반 판매량 181만 9천장 올림 (49억 3000만엔 / 우리나라 7399억 )

오리곤차크 연간 4위에 랭크 : 일본에서 탑5위 순위에 든것은 일본 음반 사상 최초라고함.

 

3. 장근석 막걸리

: 서울탁주가 제조하고. 일본 산포리가 유통한 “서울 막걸리” 사례

지난해 3월 출시 두달 만에 700만캔 팔림

산토리 홈페이지와 유튜브 공개.. 장근석은 "캔을 조용히 4~5번 흔듭니다.. 너무 흔들면 빵 터져 버려요“

일본어, 한국어.. 막걸리 맛있게 먹는 방법 공개

*참고 자료 : 뉴스위크 한국판 2012. 2.22호

끝으로..  이 훈훈한 신 한류의 붐을 기업과 국가 브랜드 제고 차원에서 어떻게 활용하지 SERI의 보고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K팝의 가치를 제고하고 위한 전략
첫째, 파생상품으로 부가가치를 창출
게임, 애니메이션처럼 캐릭터 상품 개발, 뮤지컬, 드라마 등 연계 장르에서 이들 스타를 활용하는 방안
둘째, K팝 팬을 유치하는 집객형 상품을 개발
K팝 콘텐츠와 관광, 쇼핑을 연게한 맞춤형 공연 관광 상품 
셋째, 패션 및 디자인 감각이 뛰어난 K팝 가수와의 컬래버레인션 통해 홍보효과 극대화 
넷째, 관련성 높은 상품의 광고 모델로 K팝 스타 기용하는 홍보전략
다섯째 K팝 팬층을 한국 제품의 신흥시장 진출 교두보로 활용  

☞ 참고 문헌 : 삼성경제연구소 K팝의 성공요인과 기업의 활용전략
☞ 참고 기사 :  뉴스위크 2012 .2.22호

                 로그인 없이 가능한 0.1초의 손가락 추천은 정보나눔의 큰 힘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