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s pick
-
다가오는 2024년 트렌드 키워드는 ? 분초사회
올해도 얼마남지 않았는데요. 2023년도에 새롭게 등장한 트렌드 키워드 중에서는 불황기에 가성비를 추구하는 똑똑한 소비자 ‘체리슈머’ , 나이들기를 거부하는 ‘네버랜드 신드롬’ 이 돋보였던 한해같습니다. 올 한해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 가 선정한 10대 트렌드 상품은 1. 무인점포 2. 여행 예능 3.챗GPT , 4 편의점 초저가 초대형상품 5.단백질 식품, 6. 식당예약 줄서기앱, 7,웹툰, 웹소설 8. Y2k 복고 아이템 9. 팝업 스토어 , 10 고향사랑 기부제입니다. 이중에서 브랜드 컨설팅 필드에서 눈에 띄는 트렌드 키워드는 '무인점포'와 '복고 아이템'이였습니다. 아이들의 놀이터로 떠오른 무인문구점 ‘문구야놀자’, 식품 제조사의 새로운 움직으로 보이는 풀무원의 ‘풀스마켓’의 등장은 새로운 변..
-
'초소형 미니백'하면 떠오르는? 프로방스를 대표하는 패션 천재, 자크뮈스
얼마전 기사 보도를 보니, 젊은 남성들 사이에서 초소형 미니백이 유행한다고 합니다. 초소형 미니백은 보편적으로 여성들에게 앙증맞고 귀여운 스타일로 오랫동안 사랑을 받아온 패션 아이템입니다. 그런데 갑자기 남자들이 미니백을 드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젠더리스 패션 열풍의 반영과 함께 커다란 백팩을 매는 것이 여름철에는 덥고 갑갑해서라고 합니다. 또한 간편 결제로 가지고 다닐 소지품이 줄면서 스마트폰 하나 달랑 들고 다니니 큰 가방도 필요없는 듯 하네요. 남성이 쪼잔하게 작은 가방? 소지품 줄고 날 더워지자 '미니백' 인기 날개(한국일보 2023- 6-13) 초소형 미니백하면 떠오르는 패션계 인물이 있습니다. 주인공은 다름 아니라 패션계에서 가장 성공한 촌놈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자크뮈스'입니다. 자크..
-
40대 아재들을 위한 어덜트 스트리트 패션 '노아' Noah
스트리트 패션을 이야기할 때 사람들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브랜드는 아마도 '슈프림'일 것입니다. 1994년 뉴욕 소호의 동쪽 끝에 위치한 작은 스케이트보드 숍에서 시작한 슈프림은 루이비통·톰브라운·꼼데가르송 등 다양한 브랜드들과 콜래보레이션을 거듭하며 20여 년 만에 막강한 파급력을 가진 브랜드로 성장했습니다. “그냥 옷일 뿐 패션이라고 볼 수 없다”고 혹평하던 사람들에게 보란 듯이 미국 패션디자이너협회(CFDA)가 수여하는 가장 권위 있는 상인 ‘멘즈웨어 디자이너 상’을 수상했는데요. 스트리트 브랜드에서 이상을 수상한 건 슈프림이 처음이였습니다. 슈프림이 승승장구 할때 한쪽에서는 소비자의 다른 니즈가 떠오르고 있었습니다. 2000년대 슈프림을 입고 자라난 소년들이 어엿한 중년이 되었을때 그들이 딱히 입..
Insight
-
고객의 마음을 훔치는 브랜드 슬로건
생소한 브랜드일지라도, 브랜드에 담긴 진심과 철학을 잘 표현해줄 수 있는 슬로건을 잘 활용하면 소비자의 마음을 열 수 있습니다. 물론, 공허한 메세지가 아니라 해당 브랜드 슬로건을 뒷받침하는 실제적인 기업의 차별화된 서비스와 획기적인 사업모델이 뒷받침 되어야겠지요. 소비자의 마음과 시선을 붙잡는 브랜드 슬로건 사례 몇가지 소개드립니다. 가능성을 배달한다 미라클 쿠리어즈Mirakle couriers 의 브랜드 슬로건입니다. 미라클 쿠리어스는 2009년 인도 뭄바이에서 설립된 배달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회사인데요. 왜 미라클 일까요? 기적을 의미하는 miracle의 c를 K로 바꿔 상표등록을 했습니다. 직원 중 관리직 몇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수십명의 직원들이 모두 청각장애인 배달회사입니다. 인도에는 800 ..
2022.12.12
-
기록의 힘! <거인의 노트>
자유롭고 싶다면 기록하라 오랫만에 인생 책을 하나 만난 느낌입니다. 기록학자 김익한이 집필한 는 그냥 습관적으로 메모를 해오던 것에 '기록하기'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열어주는 책입니다. 아이쿠! 그동안 메모하기에 대해서 잘못 알고 있었구나 이렇게 무릎을 탁 치게 만드네요. 메모는 우리 삶에 있어서 뗄레야 땔 수 없는 중요한 행위이기에 많은 분들이 이 책을 꼭 한번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책의 서두에서는 '메모'와 '기록'이 다르다는 것을 짚어줍니다. 어떻게 다를까요? '메모'는 일단 있는 그대로를 날 것으로 기록하는 것이며, '기록'은 메모를 요약하고 정리하는 작업입니다. 이를 좀더 학문적으로 접근한 것이 '기록학'이라고 합니다. 기록학이란 기록을 생산, 분류, 기술하고, 그것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게하..
2023.05.16
-
여성의 경제적 자립과 시각장애인을 지원하는 뷰티 브랜드 '록시땅'
찬바람 불면 피부가 거칠어지기 쉬운데요. 오늘은 핸드크림으로 유명한 뷰티 브랜드가 떠올라서 소개를 드려봅니다. 시어버터 핸드크림으로 유명한 프랑스 명품 브랜드 ‘록시땅’ L’ OCCITANE’ 은 자연주의 브랜드로 프랑스 남부 지방의 옛 명칭인 ‘옥시따니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Occitania는 '옥시따니아'에서 온 여자라는 뜻으로 브랜드의 풀 네임은 정관사가 붙은 L’ Occitane en Provence 록시탄 앙 프로방스 입니다. 1976년 올리비에 보송이 창업한 회사인 록시땅은 ESG 사회공헌의 살아있는 교과서라고 할 수 있는데요. ESG는 E는 환경 (Environment ), S는 사회 (Social), G는 지배구조 (Government) 의 약자로 기업의 목적이 이익에만 있지 않고 목적과..
2022.11.04
-
도시인에게 자연의 '로망'을 파는 아이스박스 브랜드 , YETI 예티
브랜딩에 있어서 제품의 차별화 포인트를 찾아내는 작업은 매우 중요한데요. 패션이나 뷰티 브랜드가 감성적인 영역을 중시한다면, 일상용품이나 첨단 서비스, 전자기기 같은 경우 제품의 편익을 설명하는데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품의 기능적 편익을 부각하는 것은 예를 들어, ' 더 저렴하다, 더 편리하다, 더 안락하다, 몸에 더 잘맞는다. 고객서비스가 낫다.구매경험이 더 간단한다. 더 건강하다, 더 체계적인 생활을 도와준다 '등 기존의 무언가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강조하는 전략입니다. 브랜딩에 있어서 제품의 기능적인 편익만 강조하다보면, 소비자들의 호감을 얻기는 고사하고 관심을 끄는 것도 실패할 수 있습니다. 너무 뻔하고 이런 메세지가 친숙해서 새롭지 못하기 때문인데요. 기능적 편익을 강조하더라도 전체를 아..
2022.09.21
Trend News
-
[용어사전]네버랜드 신드롬
네버랜드 신드롬은 나이보다 어리게 사는 것을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로, 사회 구성원 모두가 스스로를 나이보다 젊다고 여기고 '어른이'(어른 +어린이)라고 불리는 것을 즐거워하는 현상입니다. 오늘날 늙지 않고 아이처럼 살고 싶다는 것은 보편화된 욕망으로 단지 일부의 취향이 아닌 사회 전체의 사고방식으로 나아가 생활양식으로 되고 있습니다. 영국의 작가 제임스 매튜 베리는 그의 작품 에서 나이를 먹지 않는 마법에 걸려서 영원히 아이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캐릭터인 '피터팬'을 묘사하고 있는데요. 어른이 되어서도 심리적으로 아이에 머무르는 퇴행적 심리 상태를 '피터팬 신드롬'이라 부르고 피터팬 친구들이 모여사는 나라가 '네버랜드'입니다. 네버랜드 신드롬은 피터팬 신드롬 보다 가치 중립적인 용어로, 나이들기를 거부하..
2023.01.16
-
꾸안꾸 메이크업의 선구자 <글로시에 >의 브랜드 핵심 아이덴티티는 무엇일까요?
창업자가 브랜드의 핵심 아이덴티티인 Glossier. 밀레니얼 세대의 '에스티 로더(Estee Lauder)'라고 불리는 글로시에 브랜드는 2014년 말 론칭한 이래 매년 세 자릿 수 이상의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전 세계에서 가장 핫한 화장품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이 기업의 브랜드 가치가 무려 1.2조원이라니? 화장품계의 코카콜라입니다. 화장을 한 듯 안 한 듯한 '꾸안꾸 메이크업'의 대표 브랜드 '글로시에'는 창업자와 함께 성공을 거둔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글로시에는 에밀리 와이즈라는 젊은 여성이 유명한 패션 잡지에서 일했던 경력을 바탕으로 블로그를 만들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에밀리 와이스는 보그, 더블유에서 일한 경력을 바탕으로 2010년 블로그 를 만들었는데요. 패션 모델과 뷰티 및 화장품 업계의..
2022.08.25
-
원조 도시농장 , ' 바우어리', 브랜드 본연의 감성으로 승부하다
At Bowery, we dream of a world where agriculture gives back to the people and planet more than it takes. But to achieve this, we need more than incremental change. 바우어리(Bowery)는 실내농업으로 전 세계의 식량 위기를 해결하려는 꿈을 품은 기업으로 2015년에 설립되었습니다. 바우어리가 무슨 뜻일까요? 뉴욕에 있는 지역 이름으로 ‘바우어리’라는 곳이 있고, 네덜란드어로 바우어리는 ‘농장’이라는 뜻이 있다고 합니다. 원조 도시 농장으로 브랜딩하기 좋은 이름입니다. '뉴욕에 있는 농업회사'라는 것과 '원조 도시 농장' 브랜드 네이밍으로 '바우어리'라는 이름은 탁월한 선택입니..
2022.05.03
-
엄청난 팬을 끌어모은 <스위트 그린> 그 비결은?
은 미국의 샐러드 레스토랑 체인 브랜드입니다. 국내에서도 샐러드 브랜드가 거리에서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샐러디' SALADY 입니다. 화이트 계열의 깔끔한 매장 인테리어와 몸에 좋은 웰빙 푸드라는 이미지가 있는 브랜드입니다. '샐러드 레스토랑'에 열광하는 팬이 넘쳐나고 있는 브랜드 성공 사례가 '스위트 그린'입니다. 지역 농산물을 소비자 취향에 맞게 채소와 해산물, 곡물과 드레싱 등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단돈 10달러로 맛과 영양을 즐길 수 있어 1020세대들에게도 인기입니다. 스위트 그린이 사업을 시작한 2007년에 '샐러드'는 이미 새로운 개념이 아니였습니다. '스위트그린'은 근무시간 중의 특별한 이벤트로 자리잡게 되었는데요. 이는 브랜드 초기 부터 샐러드 이상의 큰..
2022.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