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194

[용어사전] 듀프 듀프란? ‘듀프’는 'Duplication(복제품)'의 줄임말로 유명 브랜드 제품의 디자인과 주요 특징을 합법적으로 모방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판매되는 대체품을 일컫는다. 듀퓨는 원본을 속여 파는 모조품, 소위 ‘짝퉁’과 다른 개념이다. 짝퉁이 소비자를 기만해 원본인 것처럼 믿게 맏드는 '사기'에 가까운 판매행위라면, 듀프는 '나는 원본이 아니다'라고 솔직하게 인정하며, 원본의 디자인과 기능적 특징을 매우 유사하게 구현한 것이 특징인 대체품이다. 법적 문제는 없으며, 소비자들은 이를 자랑스러워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에르메스의 버킨백과 디자인은 흡사하지만 가격은 훨씬 저렴한 월마트의 월킨 Wirkin백이 있다. 에르메스 버킨백이 가격은 당시 1000만원을 호가한데 반해 월킨백은 100분의.. 2025. 11. 26.
[용어사전] 맥락지능 맥락지능 (Contextual Intelligence)이란? 리더십 컨설턴트 매츄커츠는 상황을 읽어내고 예측하는 입체적 사고법을 '맥락지능' 이라고 정의했다. 맥락을 감지하는 '레이더'와 '의미'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매슈 커츠'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영어 단어 콘텍스트 context는 '함께 엮다'는 뜻의 라틴어'콘텍스테레' contenxtere에서 유래했다. 콘텍스테레는 테피스트리를 만드는 방법을 묘사할 때 쓰이는 용어다. 맥락은 어떤 상황이 서로 복잡하게 얽히고 묶인 독특한 구조를 말한다. 맥락이 없으면 의미가 없다. 맥락지능은 다양한 상황과 변수를 인식하고, 여러 행동 방침의 차이를 구별해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이는 변화무쌍한 환경에서 복잡성을 효.. 2025. 11. 21.
[용어 사전] 자아 연결망 자아 연결망이란? 우리가 자기 자신에 대해 지닌 '생각'과 '신념' 그리고 '확신'은 두뇌에서 이를 담당하는 신경세포 연결망 중 '자아 연결망'에 연결되었다는 것이다. 사람들을 대상으로 '삶에서 어떤 가치가 제일 중요한지'를 깊이 집중적으로 생각하는 실험을 했는데 여러 신경 세포 연결망 중 특정한 곳에서 활성화 신호가 뚜렷해서 이를 '자아 연결망'이라 명명했다. 자아 연결망은 전두엽의 아래층에 위치하는데 현재 우리가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스스로 어떤 성격적 특성을 지녔다고 생각하는지, 고유의 신체적 특성을 어떻게 여기는지가 저장되어 있다. 미국의 철학자이자 사회 심리학자인 '조지 허버트 미드' 교수는 인간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있어야만 비로소 정신이 발달하고 자아가 구성된다고 주장, 이를 이론으.. 2025. 11. 18.
[용어사전] 냅 스페이스 냅 스페이스 Nap Space 냅스페이스란 선잠을 자듯 가볍게 쉬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말합니다. 특별한 콘텐츠 없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공간'이 핫플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낮잠을 잘 수 있는 공간이 있는 만화 카페나 책을 읽지 않아도 쉬어갈 수 있는 '숲속 도서관'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본래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쉼'을 더한 공간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종전에 체험형 콘텐츠가 대세를 이루면서 팝업스토어가 인기를 모았던 것과는 반대의 흐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MZ 세대들이 사람이 많이 모이는 핫플에 가지만 이러한 곳 일수록 피로감을 느끼면서 자유롭고 편히 쉬어갈 공간을 찾게 되면서 냅스페이스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습니다. 기업에서는 이를 역으로 공략하면서 브랜드 공간의 .. 2025. 9. 18.
[용어사전] AI 환각 현상 AI 환각 현상 (할루시네이션) AI 환각 현상은 생성형 AI가 사실이 아니거나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마치 사실인 것처럼 말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할루시네이션 (hallucination) 은 국립국어원의 풀이에 따르면 '허위생성'이라는 뜻인데요. 의미와 용례에 대해서 인공지능이 거짓이거나 맥락과 관련없는 내용을 생성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AI환각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AI가 거짓말을 하는게 아니라 인공지능은 참, 거짓 필터가 없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구체적으로 할루시네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은 학습데이터의 한계, 맥락 이해 부족, 알고리즘의 한계, 프롬프트의 모호함 이라는 네 가지 이유로 발생합니다. 1. 학습데이터의 한계 : AI가 대량의 데이터에서 패턴을 학습하지만, .. 2025. 9. 9.
<창조적 영감에 관하여>, 집중력보다는 산만함! "지적 행복은 오직 생각의 빈틈에서 나온다"알고리즘 추천으로 읽은 책 을 읽고나니 뭔가 한 대 얻어 맞은 듯한? 감동이 있습니다. 책의 부제가 천천히 사유할 때 얻는 진정한 통찰의 기쁨인데요. 이런 책 제목에 많이 끌리는 것은 아무래도 뭔가 창의적인 영감이 고갈되었다고 생각되는 순간이 많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더 많은 성과와 탁월함을 위해서 뭔가 열심히 해야하고,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서 멀티태스킹을 멀리하고, 인터넷과 스마트폰 이런 것을 멀리해야한다고 끊임없이 외쳤는데요. 우리의 작업 환경은 어느새 일과 놀이의 경계가 많이 무너진 상황인 듯합니다. "창의성은 '집중력'보다 '산만함'이 필요하다." "우리 정신은 목적지로 직행하도록, 채찍질하는 것 보다 벌판에 풀어 둘 때 더 근사한 생각이.. 2025.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