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Categories593

이영애의 뉴욕타임스 비빔밥 광고 2013. 2.13 뉴욕타임즈 지면입니다. 2013.2. 13일자 A섹션 15면에 실린 비빔밥 광고 입니다 한국을 세계에 알리는데 앞장서고 있는 홍보전문가 서경덕 교수의 그칠줄 모르는 행보가 놀랍습니다.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는 뉴욕타임스 13일자 A섹션 15면에 배우 이영애씨와 함께 비빔밥 전면 광고를 게재했다고 밝혔는데요.. 한복 차림의 이영애씨의 단아한 모습이 인상적이지요? 드라마 대장금으로 전 세계 90여 개국에 30억 인구가 시청한 드라마 대장금의 여주인공을 광고 모델로 내세워 비빔밥을 보다 친근하게 알릴 수 있겠다는 취지에서 광고를 기획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한복의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릴 수 있으니 일석 이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영애씨는 재능기부로 광고에 협조하였다는 후문으로 이래저래.. 2013. 2. 14.
[페이스북 이벤트] 현대미술 작품 감상 이벤트 ~ 리움 티켓의 행운 1인매체인 블로그가 생기면서 기존 언론매체에서 깊게 다루지 못하는 사안에 대해서 다양한 콘텐츠와 정보를 손쉽게 접하게 되었으며, 이 대안 매체에 중소 온라인 매체와 각종 전문지들의 입지가 좁혀지는듯 했습니다. 전문적인 지식과 저작권 표시가 엄격한 미술분야는 새로운 양상을 보이고 있네요. 미술계 소식, 전문필진들의 칼럼과 미술 시장 뉴스를 다루는 전문매체들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매체로 김달진 미술연구소, 뮤움닷컴, 최근에 오픈한 이앤아트 같은 매체를 예로 들 수 있지요.. 또한 미술 분야는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그 자체이므로 페이스북에서 전문 매체사는 물론, 아티스트 개인 프로필 페이지도 매우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이앤아트에서 최근에 참신한 페이스북 이벤트를 하고 있군요.. 12월 7일까지 한달 .. 2012. 11. 14.
나만의 컬렉션을 위한 첫 걸음, 그림 쇼핑 『그림쇼핑』, 이규현 / 부제 : 나만의 컬렉션을 위한 첫 걸음 미술 컬렉터, 경매.. 그림을 사는 행위가 어떤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세계를 알게해 준 책입니다. 고전 미술부터 현대 미술에 이르기까지 미술사를 주도한 것은 알고보니 예술가를 후원하는 후원자였고, 현대로 넘어와서 그림을 사는 '컬렉터'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네요. 유화가 왜 드로잉보다 비싸게 팔리는지.. 평면 그림이 조각보다 높은 가격으로 경매되는지 흥미로운 질문에 명쾌한 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비싼 그림이 좋은 그림인가? 비싼 그림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며...시대가 원하는 트렌드에 따라 .. 즉 유행이 작품의 가격을 매기게 된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습니다. 유명 작가의 작품일지라도 트렌드에 따라 초기, 중기, 말기 작품이 가격이 천차만.. 2012. 11. 5.
[용어사전] 마더테레사 효과 마더테레사 효과란? 사람들이 추상적인 대중보다 특정한 개개인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 예를 들어 공익적인 목적으로 아프리카 난민을 돕고자 대중을 설득하고자 할때 거창한 통계 수치보다 특정한 개인의 스토리- 예를 들어 수단에 사는 8살 소녀의 이야기 "를 들려주면 그에 대한 반응이 더욱 크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Mother Teresa 이미지출처: 위키피디아 2012. 10. 27.
[용어사전] 호기심의 공백 호기심의 공백 이란? 우리가 아는 것과 알고 싶은 것 사이의 불일치에서 호기심이 발생한다는 것 - 조지 로웬스타인 2012. 10. 27.
페이스북 페이지 처음 개설시 유의할 점 요즘 페이스북 마케팅이 본격화되면서,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과 자영업 사장님들까지 페이스북에 기업 홍보채널을 열고 있습니다. 처음에 페이지를 개설할때는 일단 '좋아요' 회원을 증가하는 커뮤니티 구축하는 것에 모든 것을 올인하게 되는데요.페이스북 채널을 오픈할 때 브랜딩 작업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주의해야할 사항을 몇 가지 적어봅니다.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임팩트있게 각인할 수 있는 영역은 Cover Photo 와 브랜드 로고, 페이지명입니다. 페이스북 카버에 대해서는 지난 번 포스팅에서 이야기를 했습니다. 오늘은 자칫 간과하기 쉬운 프로필사진과 페이지명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먼저 지금 우리 회사, 단체의 브랜드가 지금 어디에 와있는가를 먼저 파악한 후에 전략을 세워.. 2012.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