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Categories598

SeeON - 내가 있는 곳에서 기분좋은 시간을 보낸다 또, 새로운 SNS가 생겼습니다. 와글와글, 미투데이, 등등등.... 아는 사람들, 혹은 조금 알수도 있는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이 정통적인 SNS 서비스의 형태입니다. 씨온은 여기에다가 위치정보를 추가했습니다. 수다를 떨고 썰을 푸는 주제가 장소라네요. 아무래도 현재 주변의 먹고 노는 상점 들이 많이 보이기는 합니다. 상업성이 약간 배제된다면 나름대로 호감을 사는데 좋을 것 같습니다. 바로 위의 사진까지가 사진과 정보가 들어가는 기존 방식이라면, 여기부터는 지도가 제공되는 위치기반이라네요. 초기 셋팅에 의해서인지, 현재 위치보다 제가 등록한 위치가 나오고있습니다. 아직은 어떻게 쓰는지 몰라서 우왕좌왕입니다. 다른 SNS처럼 이곳에도 빅마우스가 존재합니다. 등록할 때, 그런 빅마우스들.. 2012. 7. 19.
현직교사가 만든 10대를 위한 SNS, 클래스팅 10대들만을 위한 SNS가 뜬다고합니다. "어른들은 몰라요' ..학생들 위한 SNS 뜬다"(2012-7-2 아이뉴스)라는 기사보도가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서비스가 '스쿨톡'과 '클래스팅' 입니다. 스쿨톡은 지난 1월 출시하여 회원수 40만명을 돌파했고, 현직교사가 만든 '클래스팅'은 출시 2달만에 10만명을 확보했다고 합니다. 인천 동방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선생님이 자비로 만든 '클래스팅'의 비하인드 스토리에 매료되어 한번 들어가보았습니다. 학생과 학생, 그리고 학생과 교사가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회원가입을 하면 다른 SNS처럼 이용자의 공간이 만들어집니다. 요즘처럼 매스컴에서 연일 학교 폭력, 자살, 왕따가 이슈화되고, 이를 바라보면 공교육이 무너져가는건 아닌가 참 걱정이 많이 되었는데요.. 현직.. 2012. 7. 4.
소셜미디어 미래, 유튜브 SNS로 외국인들과 얼마나 소통을 하고 있나요? 지구 반대편의 사람들과도 얼마든지 실시간으로 소통을 할 수 있는 것이 sns의 위력입니다. 트위터, 페이스북을 비롯 유튜브, 플리커, 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 등 다양한 소셜 미디어에서 국경을 넘어서 일상을 공유하고 친구가 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언어의 장벽 때문에 소셜게임, 동영상 서비스, 사진 공유 서비스가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겠다는 추측을 해봅니다. 최근 이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기사 보도가 있었는데요. 6월 23일자 조선일보 위클리 비즈의 유튜브에 관한 인터뷰 기사에 내용을 참고해 보면, 페이스북의 86%~88%, 트위터의 79% 이상은 모두 자국 안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미국 서비스인 유튜브는 사용량의 70% 이상이 미국 .. 2012. 6. 25.
[책 리뷰] 혼 창 통 이지훈 / 쌤앤파커스 조금 있으면 여름 휴가철입니다. 따끈한 신간은 아니지만, 여름에 한번쯤 읽어볼만한 책이지 않나 싶습니다. 혼(魂). 창(創). 통(通), 당신은 이 셋을 가졌는가? 우선 책의 저자가 '조선일보' 경제 섹션 ‘위클리비즈’의 편집장이자 경제학 박사로 기자 출신이라는 점에서 흥미롭습니다. 이지훈은 3년간 수많은 초일류기업의 CEO, 경제경영 석학들을 심층 취재하면서, 그들의 이야기에 일관되게 흐르는 메시지를 발견, 모든 성공과 성취의 비결에 있는 3가지의 공통된 키워드를 바로 혼(魂)ㆍ창(創)ㆍ통(通)으로 나누었습니다. 케네스 토머스 미 해군대학원 경영학과 교수 연구 에서 사람들이 일에서 재미와 열정을 느끼게 되는 4가지 조건을 꼽고 있습니다. 자신이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있다고 느낄 때.. 2012. 6. 22.
새로운 친구 '플친'과 '카카오 스토리' 어떻게 생각하세요? 처음 다음카페를 열고 지인들끼리 작은 소모임을 했던 때를 기억하시나요? 이후에 아이러브스쿨, 싸이월드를 시작으로 여기저기 인터넷에서 사람들과 관계를 맺기 시작했는데 유행처럼 새로운게 생기면 또 가입해 보고 했던 것 같습니다. 몇년 전부터는 페이스북이 전 세계의 친구(?)를 게임을 통해서 사귈수 있었는데, 이렇게 요즘 나오는 소셜네트워크는 그다지 친하지 않아도 맺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페이스북을 통해서 아는 친구들 (여기에는 진짜 친구, 혹은 필요에 의한 일회성 친구, 게임을 위해서 서로돕는 새로사귀 친구들이 다 포함된다 ) 은 이제 '페친'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표본집단에 따라 틀리겠지만, 아직까지 알고 있는 사람중 많은 사람이 페친이 되지 못했습니다. 그런 것을 생각하면 카카오톡은 .. 2012. 6. 15.
기업 트워터 팔로워 수 절반이 가짜 계정 '봇' bot 계정 올해 4.11 총선에 후보자의 트위터의 영향력에 대해서 언론의 보도와 포탈사이트 다음, 네이버의 분석 서비스까지 많은 관심과 집중이 있었습니다. 기업에서 홍보채널로 트위터를 적극활용하고자 할때 빠지기 쉬운 함정이 팔로워수에 대한 집착일수 있습니다. 단기간에 팔로워수를 많이 늘리고 싶다는 고객분들의 문의가 많은데요.. 마르코칼조라리 교수팀이 발표한 '트위터 계정 팔로워분석'에 따르면 최대 절반 가량의 기업 트위터 팔로워가 가짜 계정인 '봇' bot 계정이라고 합니다. 관련 기사 보도 내용을 링크해서 올립니다. '트위터 팔로워 수의 '불편한 진실' (2012-6-14) 2012.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