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용어사전81

[용어사전] 속물효과 속물효과란? 명품 브랜드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으로, 희소성이 강한 재화를 소유하여 남과 차별화를 꾀하고자 하는 심리를 속물효과(Snob effect)라고 한다. 특정 브랜드는 수요량이 정상적으로 커져 가격이 하락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속물효과를 겨냥하여 일부러 공급을 제한다. 한정판, 제한수량, 제한기간 등을 브랜드 가치와 가격을 컨트롤 하는 한 방법이다. 즉 특정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줄어드는 현상과 , 값을 올리면 오히려 매수 심리가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밴드 웨건 효과 (bandwagon effect) 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상품을 소비자는 사람이 많아질 수록 수요도 증가하는 것이다. 2014. 4. 18.
[용어사전] 평판 경영 기업평판이란 다중의 이해관계자들이 기업에 대해 경험하고 인지하는 총체적인 느낌이다. 다중의 이해관계자가 주체가 되는 평판경영은 소비자, 투자자, 어느 한 그룹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에 관심과 영향력이 있는 객체를 모두 포괄하고 있다. 직접 이해관계자는 소비자, 투자자, 직원, 공급자, 간부들이 간접 이해관계자는 미디어, 비정부기관, 정부, 지역사회, 국제사회, 경쟁자, 대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해관계자를 내부와 외부의 그룹으로 나누었을때 직원들이 인지하는 평판은 에 해당하고, 소비자 등 외부의 이해관계자들이 인지하는 평판을 이라고 부른다. 2014. 4. 17.
[용어사전]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인지도란 ? 잠재 구매자가 어떤 제품군에 속한 특정 브랜드를 재인식 또는 상기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그 브랜드를 알고 있는 것 같다는 약한 인지부터 어떤 제품군에서 그 브랜드만 있는 것으로 확신하는 것 까지 강도의 범위가 넓다 보조인지 brand recognition 응 답자들에게 특정 제품군의 여러 브랜드 네임을 들려주고 전에 들어 본 적이 있는 브랜드를 말해 보라고 하는 방식으로 측정한다. 보조인지는 브랜드 인지도의 가장 낮은 수준으로 구매자가 구매 시 브랜드를 선택하는 경우 특히 중요하다. 비보조 상기 brand recall 응답자에게 특정 제품군에서 생각나는 브랜드 네임을 말해 보라고 한다. 응답자기 브랜드 네임이 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답해야 하기 때문에응답 난이도면에서 보조 인지보.. 2014. 4. 11.
[용어 사전] 셀피 셀피 Selfie 셀카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올리는 행위를 의미하는 신조어로 지난해 옥스퍼드 영어사전이 뽑은 올해의 단어이다.주디 피어솔 옥스퍼드 사전 편집장은 "'셀피'는 지난 2002년 호주의 온라인 포럼에서 처음 등장한 이래 2004년에는 사진 공유사이트인 플리커에서 해시 태그로 사용되는 등 점점 퍼져나가 '옥스퍼드 선정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2014. 3. 20.
[용어사전] PR의 정의 Public Relations is a strategic communication process that builds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s and their publics 미국PR협회가 내린 새로운 PR의 정의에 따르면, "PR은 조직과 그 공중간에 서로 유익한 관계를 형성해주는 전략적인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다" 입니다. PR이 무엇인가 묻는다면, 아주 길고 긴 대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만.. 한 마디로 표현할 수 있는 좋은 뜻인 것 같습니다. 이전 버전과 달라진 점은 조직과 공중간의 유익한 관계라는 것인데요. beneficial relationships '유익한 관계'도 눈에 들어오는 표현이지만, mutually '서로' 라는 .. 2014. 3. 20.
[용어사전] 달러보트 dollar vote "Dollar voting is an analogy used to explain how the purchasing choices of consumers affect which products will continue to be produced & supplied to the market. Political vote is the right everyone has to choose, or vote, for public offices." 달러보트는 당신의 생각이나 느낌, 말보다는 당신의 행동이 당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훨씬 더 많이 드러낸다는 이론입니다. 소비자의 제품 선택 행동은 결국 유권자가 여러 후보 중에서 적절한 후보를 선택하여 투표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는 맥락입니다. 돈은 인간의 시간과 에너지를 .. 2014.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