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용어사전81

[용어사전] 브랜드 스위트 스팟 브랜드 스위트 스팟 Brand Sweet Spot 이란? 브랜드가 고객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접점을 의미한다. 고객과 공감할 수 있는 스위트 스팟은 고객들의 삶과 자아 개념에 중심이 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자신이 누구인지를 드러내 주는 관련 문제들과 관여 사항을 표현하고, 고객의 라이프를 구성하는 요소를 찾아낼 필요가 있다. #스위트 스팟을 찾아내기 스위트 스팟을 찾아내는 방법은 현재의 헌신적인 고객들을 살펴보면 답이 있다. - 왜 그들은 그토록 가장 애정을 보여주는 것인가? - 중요한 사실은 고객 집단에게 배우기보다는 고객 개인들에게 배워야 한다는 점이다. - 브랜드가 어떻게 고객의 자아 개념과 생활 방식에 연결되어 있는가? - 고객의 가치와 신념, 활동과 관심사 그리고 고객이 소유하고 있는 것.. 2016. 11. 15.
[용어사전] 프레임 이론 프레임이란? 프레임이란 세상을 보는 생각의 틀이다. 사람들은 자신의 이익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 즉 자신의 가치관, 정체성에 따라 움직인다. 대중은 사실 자체가 아니라 믿고 싶어하는 바대로 믿고 그 신념에 따라 선택한다. 일상 속에서 사람들은 논리나 이성, 언어의 프레임이 아니라 감정, 이미지, 정서의 프레임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따라서 설득에는 감정, 이미지, 정서의 프레임이 더 효과적이다. "프레임이란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형성하는 정신적 구조물이다” - 『코끼리는 생각하지마 Don’t Think of an Elephant』 , 조지 레이포크 2016. 7. 7.
인지부조화, 합리화... 그리고 소비 인지부조화, 합리화... 그리고 소비 사람은 일단 사람이나 사물을 선택하면 탐탁하지 않은 점을 별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장점을 찾으려 한다. 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이 이다. 인지부조화란 자신의 말이나 행동 때문에 모순된 상황이나 난처한 처지에 놓이면 그것을 타개하기 위해서 다른 근거를 들어 정당화 혹은 합리화의 행동을 하는 현상을 말한다. 인지 부조화를 “믿음과 사실이 충돌할 떄 믿음을 정당화하려는 마음의 시도”라고 말하기도 한다. 합리화는 일관성을 유지하려는 심리에서 비롯된 것으로 소비현상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일단선택을 하면 옹호자가 된다. 리콜이나 반환을 요구하는 일은 자신의 선택이 잘못 되었음을 시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 결함이 아니고서는 잘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자신.. 2016. 7. 1.
[용어사전] 이름 효과 이름효과 Name- Letter Effect 이름효과란? 인간은 무의식적으로 자기 이름과 유사한 판단과 선택,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 톰이란 이름을 가진 사람은 자기 이름과 비슷한 도요타 Toyota 차를 구매하고 토론토에 살 가능성이 높고.. 데니스나 데나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치과의사 dentist가 될 확률이 높다. 이 효과가 무의식적인 것이라면 우리는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자유의지와는 상관없이 행동한다. 상품이나 서비스 이름도 무의식적으로 이름효과가 발휘된다. 약은 쉬운 이름, 놀이기구는 어려운 이름이 성공한다는 연구가 있다. 약 성분처럼 위험해서는 안 되는 대상은 쉽고 편한 이름을, 놀이 기구처럼 스릴 넘쳐야 하는 대상은 어려운 이름을 지어 줘야 좋다는 것이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발음.. 2016. 6. 28.
[용어사전] 필터 버블 필터 버블 filter bubble 이란 웹의 미래가 개별화를 향하게 되는 것에서 파생되는 현상이다. 구글, 페이스북, 미디어 사이트 등 웹과 SNS에 사용자들이 반응하는 정보를 토대로 스마트하면서도 사용자에게 개별화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는 것 '필터 버블'은 이용자에게 맞는 정보만 필터링하여 제공하는 현상으로, 우리가 온라인에서 정보와 아이디어를 맞닥뜨리는 방법 자체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새로운 세대의 인터넷 필터가 당신이 좋아하는 것을 살펴본다. 당신이 실제로 무슨 일을 했는지, 당신과 같은 사람이 무엇을 좋아한는지 살펴보고 추론한다. 예측 엔진들은 끊임없이 당신이 누구인지, 이제 무엇을 하려고 하고 또 할 것인지에 대한 이론을 만들어내고 다듬는다. 우리는 마음에 드는 뉴스에 둘러쌍이기 .. 2016. 6. 21.
[용어사전] 디드로 딜레마 디드로 딜레마란? '디드로 효과'라고도 명명함. 소비가 또 다른 소비를 부르는 욕망의 추구가 만족 대신 또 다른 욕망을 낳는 이율배반적인 상황이다. 새로운 물건을 사면 그 물건과 관련된 물건을 또 원하게 되는 것으로 새옷을 사면 이에 어울리는 가방을 사고 싶고 , 또 가방을 사게 되면 새로운 구두를 원하게 되는 이치이다. 18C 프랑스 대표적인 철학자 드니 디드로의 개념에서 용어가 유래되었으며, 그는 계몽주의 철학을 집대성한 철학자로 유명하다. 디드로 효과는 "디드로 통일성" 혹은 "제품간 연결성"이라고 불리는 물체간의 상호작용의 결과가 소비자에게 느껴지는 사회현상이다. 디드로 통일성은 어떤하나가 다른 하나와 문화적 연결성을 가지고 묶음으로서 어울리는 경향이다. 예를 들어 어떤 복장, 가구, 자동차등등에.. 2016.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