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용어사전81

[용어사전] 포비아 포비아란? 포비아 phobia는 번역하면 공포증이란 뜻으로, 고대 그리스어로 ‘소테리아’ soteria의 반대말이다. 소테리아가 극단적이고 비 이성적인 기쁨을 의미한다면, 반대로 포비아 ‘phobia’는 병적이고 비이성적인 공포를 뜻한다. 공포증은 특수한 상황이나 대상에 대해 공포와 불안을 느끼고 이를 피하려는 증상이다.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두려워하고 불안해하는 사회 공포증 social anxiety도 이에 포함되며, 공포증이 혐오 정서로 번지면 특정 대상에 대한 적대적 감정, 차별로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 참고 『당신의 뇌는 서두르는 법이 없다』, 양은수 2020. 3. 23.
[용어사전] 이중구속의 딜레마 이중구속의 딜레마란? 이중구속의 딜레마(double –blind dilemma)는 어떤 부탁이나 요구를 할 때 상대방이 그에 저항할 것이 거의 확실하다면 상대방에게 선택권을 부여하는 전략이다. 예로, 부모 말을 안듣는 어린 자녀에게 “자기 전에는 이를 닦아야지”라고 일방적으로 지시하는 것보다는 “자기 전에 이를 먼저 닦을래, 아니면 잠옷을 먼저 갈아입을래?” 라고 묻는 것이 좋다. 이렇게 질문하면, 아이들은 부모말에 순종해서 이를 먼저 닦을 것인지 아니면 저항하여 잠옷을 먼저 갈아입을 것인지 사이에서 갈등하게 된다. 아이들이 부모에게 순응하려는 동기에 따르든(자기 전에 이를 먼저 닦는 것) 혹은 저항하려는 동기에 따르든(자기 전에 잠옷을 먼저 갈아입는 것) 간에 부모 입장에서는 자녀의 행동이 만족스러울 .. 2020. 2. 19.
[용어사전] 버티컬 커머스 버티컬 커머스 Vertical Commerce란? 버티컬 커머스란 (Vertical Commerce)란 특정한 카테고리의 제품만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유통을 의미한다.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취급하는 오픈 마켓을 '수평적'이라고 부른다면, 특정한 분야에 집중함으로써 관심있는 소비자와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수직적'이라고 부를 수 있다. 채식주의자들을 위한 비건 상품을 배송하는 '헬로네이처', ' 제철 수산물을 온라인 판매에서 부터 배송까지 전담해주는 '오늘회'가 있으며, 면도용품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즐리' 면도기 전문기업이 버티컬 커머스의 예라고 할 수 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0 트렌드 키워드(2) 라스트핏 이코노미 2020. 1. 6.
[용어사전] 확증편향 확증편향이란? Confirmation Bias 자신의 신념과 일치하는 정보는 쉽게 받아들이고 신념과 일치하지 않는 정보는 무시하는 경향이다. 행동경제학의 창시자 다니엘 카너먼은 저서에서 확증편향 Confir0ation Bias 을 말하면서,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실제로 존재하는 많은 사실들을 자신의 생각의 경계에서 자연스럽게 제거하는 것으로 용어를 설명했다. 이와 비슷한 맥락의 개념로 '무주의 맹시' inattentional Blindness 가 있다. 무주의 맹시는 특정한 부분에 주의를 집중할 때 주변의 예상치 못한 변화를 알아차리니 못하는 현상이다. 관련된 것으로 유명한 실험으로, 바로 '보이지 않는 고릴라 The invisible Gorilla' 실험이 있다. 크리스토퍼 차브리스와 다니엘 .. 2019. 9. 19.
[용어사전] 전주의 프로세싱 전주의 프로세싱이란? preattentive processing 우리의 뇌가 특정한 종류의 정보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을 전주의 프로세싱. Preattentive processing라고 한다. 인간은 상징과 상징의 특징적 요소에 끌린다. 상징은 문화, 종교, 신화를 구성하는 요소들이다. 최근 MIT 연구에 따르면, 우리 뇌는 실제로 13밀리세컨드 (1밀리세컨드는 1000분의 1초) 만에 그림을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의 시각 영역은 과거보다 훨씬 더 강력해지고,눈과 귀, 그리고 다른 감각이 우리가 의식하기도 전에 특정 자극을 감지하도록 명령을 내린다. 우리는 시각적으로 날카로운 모서리나 강렬하게 밝은 곳, 대비가 높은 곳을 포함해 특정 자극에 끌린다. 또 불가피하게 사람의.. 2019. 5. 23.
[용어사전] 프리우스 효과 프리우스 효과란? Prius effect 프리우스 효과란 사람들이 자기 정체성을 보여주기 위해 사물을 활용한다는 것이다. 2011년 버클리대의 한 연구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로, 사람들이 ‘자신이 ‘환경친화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행동을 하는 것을 '프리우스 효과'로 명명했다. 또한 사람들이 자신의 부를 과시하기 위해 비싼 물건을 구매하는 과시적 소비를 넘어 자신의 믿음과 일치하는 물건을 구매하는 이데올로기적 소비를 하는 단계로 발전한다고 주장했다. 우리는 종종 집단의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해 상품을 구매한다. 사람들은 구매 결정을 할때 상당수가 동료들의 영향을 받으며,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해 상품을 산다는 것이다. 자신이 얼마나 친환경적인지를 보여주기 위.. 2019.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