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ll Categories593

[용어사전] 메트컬프 법칙 메트컬프 법칙이란?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지면 유지비용은 점차 줄어들지만 네트워크의 가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설명한다. 전화기 2대가 있는 네트워크의 연결 기회는 2회에 불과하지만 5대의 경우 20회, 12대는 132회로 늘어난다. 이를 수식으로 정리하면 V(가치) = n(사용자수) X (n-1)이다. 사용자가 크게 늘면 V = N² 에 가까워진다. *참고자료: SNS기업 성장법칙의 부활 (2013-9-30 동아일보) 2013. 9. 30.
[입소문을 창출하는 PR법칙](2) 비교 광고 PR에서도 통한다 입소문을 창출하는 PR법칙 두번째 편입니다. 최근에 비교 광고로 화제가 된 사례로 MS의 아이패드와 원도 RT태블릿 비교 광고가 있습니다. 기사 참고 -> MS, 패기 넘치는 아이패드 비교광고(Zdnet 5-24)" 이런 식의 비교 광고는 모든 사람에게 친숙한데요.. PR에도 이런 비교의 기술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이런 기법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기사 예제를 두고 이야기를 풀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신문의 독자의 관점에서 단편적인 이해보다 업계를 조망하는 큰 그림의 기사 보도가 눈에 띄고 정보로서 다가기도 좋은데요.. 한겨레 기사는 포탈사이트의 서비스를 비교 구조로 다루고 있습니다. 다음은 콘텐츠, SK컴즈는 SNS로 '모바일 승부수' 띄웠다"라는 기사는 '다음'과 'SK컴즈'를 '모바일 '이라는 거.. 2013. 9. 27.
[입소문을 창출하는 PR 법칙](1) 인물을 통해 이야기하라 읽히는 기사는 어떤 기사일까요? 조/중/동 같은 언론사 브랜드냐. 지면이나 온라인 신문이냐를 따지기에 앞서서 중요한 것은 해당 기사가 '콘텐츠'로서 경쟁력이 있냐는 것입니다. 신문, 방송, SNS채널을 통해 각종 정보가 쏟아지는 디지털미디어시대에서는 언론의 '기사' 또한 음악, 영화, 동영상과 마찬가지로 '콘텐츠'로 보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기업체 홍보를 대행하다보면.. 고객사 대부분이 기업의 실적이나 서비스의 장점 같은 직접적이고 노골적인 팩트가 언론을 통해 기사화 되기를 원합니다. 하지만 신문을 보는 '독자' 입장에서는 이런 딱딱한 '경성 이슈'는 큼지막하게 신문에 보도되더라도 흥미를 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 해당 기사를 참을성을 가지고 끝까지 보더라도 머리속에 임팩트 있게 남지 못합니다. .. 2013. 9. 24.
[용어사전] 데이터 잔해 데이터 잔해 (data exhaust) 데이터 잔해는 사람들이 세상에서 활동하고 움직이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떨구고 가는 데이터를 말한다. 웹서핑에서는 어디를 클릭하고 , 특정 웹페이지를 얼마나 오래 보는지, 마우스 커스는 어디에서 배회하는지, 무엇을 타이핑하는지 이런 것들을 말한다ㅣ. 구글은 데이터 잔해를 유용하게 사용한 선두적인 기업이다. 구글은 데이터에서 배운다는 원칙을 서비스 전반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모든 동작을 분석해서 시스템에 피드백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들이 특정 단어 및 그와 연관된 단어를 얼마나 많이 검색했는지, 그리고 하나의 링크를 클릭했다가 별 댜른 내용을 발견하지 못하고 다시 돌아가 검색하는 경우가 얼마나 자주 있는지를 모니터링한다. 특히 검색결과에서 이용자들이 자주 화면의 .. 2013. 9. 24.
[책 서평 ] 빅데이터가 만드는 세상 요즘 심심찮게 접하는 용어 중 하나가 '빅데이터'이다. 빅데이터가 따로 설명이 필요 없을것 같으나, 빅데이터란 용어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핫 키워드로 등극한 진위가 궁금하여, 뽑아는 책이 이다. 이 책이 담고 있는 큰 맥락과 진단의 충격은 앨빈 토플러의 과 를 읽고난 후와 거의 맞먹었다. 현재는 물론 빅데이터가 어떻게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바꾸게 될지.. 그리고 비즈니스 현장에서 더욱 부상하게 될 빅데이터의 가치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에 종사하는 1인으로서 빅데이터는 그리 낯선 개념은 아니다. '팩트'와 '여론'이 중요한 PR에서 '리서치 PR'은 고차원적인 커뮤니케이션 기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PR의 이러한 원리와 빅데이터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 2013. 9. 24.
세상에서 가장 큰 신문사, 페이스북 & 뉴스피드(1) 美 중서부 지역의 유력 일간지 시카고 선타임즈가 지난 6월경, 사진기자 28명을 전원 해고한데 이어, 닉슨 대통령의 워터게이트 사건등, 세기의 핫 이슈를 다뤘던 136년 역사의 워싱턴 포스트가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에 팔려 세인들을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미국 신문협회에 발표에 의하면, 뉴욕타임즈, 월스스리트저널등, 2012년 8월 기준해 미국 신문사의 87%가 뉴스 유료화를 도입했다고 합니다. 전통 신문사들이 뉴스 유료 구독자를 유치해 경영 안정을 도모하고 있음에도, 취재, 지면 인쇄, 배포등의 물리적 한계를 넘어서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를 종이 신문으로 대변되는 전통 미디어가 상대 하기에는 버거워 보입니다. 워싱턴 포스트가 아마존에 팔린 거래금액도 보면, 데이비드 카프가 세운 텀.. 2013.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