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이트292

인스타그램 달라진 기능들, 손쉬운 광고 집행 인스타그램은 소셜미디어 플랫폼 중에서 콘텐츠별 가장 높은 참여를 보이고 있는데요. 전 세계적으로 실 사용자 6억 명(인스타그램 공식 블로그 2016년 12월집계), 광고주 50만 명을 기록하면서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에도 2016년 6월 말 MAU(월 이용자수)가 600만(자료출처 : 인스타그램, 이용자 5억명 돌파(아주경제)을 넘었습니다. 이용자수 증가 추이는 2014년 20%, 2016년 52% 증감 추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럼.. 콘텐츠에 대한 반응이 가장 핫한 채널인 인스타그램에서 최근 어떤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비즈니스 계정과 페이지 개념 비즈니스 계정은 2016년 하반기에 도입되었는데요. 개인 계정에서 비즈니스 계정으로 전환하면 △비즈니스 프로필 △인사이트.. 2017. 1. 16.
신바람 나는 회사를 만들기 위한 직원 동기 부여 법칙 8가지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인이 되어 가장 많이 시간을 보내는 곳이 직장입니다. 평생의 절반 이상을 일터에서 보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텐데요. 직장생활이 힘들고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것은 일이 어려운 것 보다도 직장내 소통이 힘들기 때문이 경우가 많습니다. 올해도 경제성장률이 2% 대로 전문가들이 신년에 전망을 내놓고 있는데요. 이럴 때일 수록 신바람 나는 직장 문화를 가꾸는 것이 모든 사장님들의 가장 큰 책무일듯 합니다. 경제 침체가 예상되는 난공불락에서 신바람나는 일터를 만들 수 있는 노하우를 소개해 드립니다. 핵심 내용은 린지 폴락이 쓴 책 본문에 나온 직원 동기 부여의 법칙을 발췌했습니다. 린지 폴락은 예일대를 졸업하고 현재 젊은 세대의 직장생활에 대한 강연과 컨설팅을 활발하게 하고 있는데요. 「포브스」선.. 2017. 1. 4.
티스토리 백업 서비스 종료 관련 기업 블로그 운영시 고려할 점 지난 12월 8일 티스토리에서 서비스 기능을 종료한다는 공지가 있었습니다. 티스토리에서 블로그를 운영중인 이용자들의 집단 항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티스토리는 입장을 바꾸지 않고 12월 21일 금일 부로 Blog API와 데이터백업 서비스를 종료하게 되는 군요. '서비스 종료될까' 불안한 티스토리 블로거들( 이데일리 2016-12-14) 블로그를 운영하지 않는 분들은 잘 모르겠지만 티스토리는 네이버와 함께 블로그 서비스의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는데요. CJ, 한화, SK 등 국내 대기업들이 기업 블로그를 티스토리에 구축하여 활발한 소통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하고 있는 네이버 블로그와 달리 티스토리는 구축을 전문적으로 할 수 있어서 기업블로그 개설이 장점이 많았습니다. 티스토리와 같은 .. 2016. 12. 21.
국내 기업의 웨이보(微博) 해시태그 전략 웨이보(微博)란? 웨이보란 중국판 트위터를 말합니다. 중국에서는 소셜(페이스북, 트위터, 유투브)이 막혀있습니다. 대신에 중국에서 통용하는 소셜채널이 있습니다. 140자 단문으로 소식을 전하는 웨이보가 대표적입니다. 화면을 보면 트위터와 + 페이스북의 느낌이 듭니다. 여러 회사의 웨이보(마이크로 블로그)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은 시나의 웨이보입니다. 시나의 상당 부분의 지분을 알리바바가 인수했습니다. 때문에 타오바오, 바이두에서 검색이 잘 됩니다. Weibo Hash tag strategy 요즘에 핫한 채널로 각광받고 있는 웨이보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작년부터 회사로 중국과 관련한 언론홍보와 소셜홍보에 관해 문의가 많습니다. 다들 궁금하시죠? 웨이보로 할까? 위챗(웨이신)으로 할까? 남들은 .. 2016. 12. 2.
카드뉴스 제작을 위한 기본 툴, 이것만 알면 직접 만들 수 있다 현재 모든 소셜미디어 채널들은 끊임없는 변화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유저들이 쉽게 느끼지 못하는 뉴스피드의 알고리즘부터 자체 로고가 바뀌는 눈에 띄는 큰 변화까지 크고 작은 꾸준한 실험과 진화를 계속하고 있죠. 이러한 변화 속에서 소셜미디어를 운영하고 있는 담당자 혹은 콘텐츠 생산자들은 아주 작은 변화 혹은 트렌드를 빠르게 읽어내고 바로 적용해야 할텐데요. 그중 페이스북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콘텐츠는 단연 '카드뉴스'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초반의 카드뉴스는 여러 장의 이미지에 짧은 글을 담아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콘텐츠 형태를 의미했는데요, 현재는 일반 유저들이 '카드뉴스'콘텐츠 형식에 익숙해져 있는 상태로, 더 나아가 각종 이벤트 혹은 동영상과 결합된 독특한 콘텐츠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는데요.. 2016. 11. 29.
온라인 배너 광고, 디테일의 승부 웹사이트는 브랜드의 연상 이미지를 창출하고 강화할 수 있으며 다른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노력을 한 곳에서 묶어서 강력한 연결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배너는 자사 웹에 올리던지 외부 채널에 광고를 하든지 그 자체로 커뮤니케이션의 일환인데요. 어떤 공간에 걸리든지 방문자들로부터 거추장스럽고 귀찮은 광고로 인식될 수 있어서 브랜드에 손실을 가져올 수도 있는데요. 웹이 단순한 홈페이지를 넘어서 강력한 브랜딩 채널이 되면서 온라인 배너를 바라보는 시각이 제각각 존재합니다. SNS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와 재미있는 광고가 넘쳐나는 시대에 바람직한 온라인 배너 기획에 대해서 정리해봅니다. 1. 목표대상을 정하라웹상의 광고 목표를 정해야하는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온라인 배너 광고 제작시 디자인적인 측면 무조건 .. 2016.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