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뉴스/PR 트렌드48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생각을 창조하는 10가지 방법>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소셜미디어가 대세인 요즘 , 전문가의 말 한마디 보다는 많이 회자되는 소셜테이너나 유명 블로거의 글과 트윗이 영향력이 커지고 있습니다.이런 디지털 세상에서는 누구의 생각인가는 중요해지고 있지 않은듯합니다. 사실상 새로운 생각이라는 것 자체가 드물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찾아보면 그것은 예전 생각이나 기존 생각을 재조합한 것일 때가 많습니다. 고도로 창조적인 개인들이 가진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요소들을 결합해 새로운 개념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너나할 것 없이 비슷한 생각을 퍼나르게 되는 소셜 커뮤니케이션을 잠시 중지하고, 새로운 독창적인 생각을 하려면 어떤 습관과 노력을 기울어야할지 정리해보았습니다. 생각을 창조하는 10가지 방법 1.. 2012. 4. 10.
낚시성 기사 제목.. 언론사의 문제인가? 포탈의 문제일까? 최근에 인터넷 언론의 낚시성 기사 제목에 대해서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낚시성 기사는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합니다. 1. 외설형 : "야동에 빠진 야구 선수' 기사 내용은 야구동영상 본다는 내용 2. 허무맹랑형 ; 나가사끼 짬뽕 너무 많이 팔린다더니 결국..." 결국 이런 단어에 호기심이 생기는데, 기사 내용은 단지 많이 팔렸다는 내용 3. 말잔낭형 ; " 애플 반값으로 폭락" .. 기사 내용은 사과값이 하락했다는 내용 도넘은 인터넷 언론 '낚시제목'.. 불신만 낚는다(조선일보 2012-2-25) 2월 25일자 조선일보 기사 보도에 따르면 포털에 올라오는 기사 제목은 언론사가 결정하고, 포털에서는 과도한 낚시제목에 시정을 요구했지만 강제적으로 기사를 내릴 방법이 없다고 항변합.. 2012. 2. 25.
총선 카운트다운~ 해외 SNS 선거운동 사례 4/11일 총선일입니다. 올해는 SNS사전선거 운동이 합법화하면서, 후보자들이 선거운동이 더욱 다양해지 않을까 합니다. 선관위 홈페이지에 찾아볼 자료가 있어서 들어가 보니, 선관위 공식 QR코드가 눈에 뛰네요. 민주주의 꽃 '선거' 메시지랑 비주얼이 멋진데요.. 사이즈 문제인지 스캔이 안되어 아쉽더군요.중앙선관위(http://info.nec.go.kr)에 따르면 이번 19대 국회의원선거에는 245 선거구에 1월 15일 현재 총 1,319명의 예비후보자가 등록을 마쳤다고 합니다. 정당별로는 새누리당이 442명, 민주통합당 520명, 자유선진당 28명, 통합진보당 167명, 무소속 113명이라고 합니다. 현행법상 국회의원 의석수는 299명이 정해져있는데요.. 이중에서 54석은 비래대표제로 뽑고, 나머지는 각.. 2012. 2. 13.
종편 콘텐츠의 문제보다 채널 브랜드 이미지 전략에 실패~ TV조선이 내노라하는 톱스타를 동원한 '한반도'의 시청률이 고작 1%대라고 합니다. 안습이네요 ㅠㅠ 한반도의 지난 7일 시청률은 AGB닐슨미디어리서치에 따르면 1.64%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황정민, 김정은이 나오고 수백억 원의 제작비가 들어간 블록버스터급 드라마라서 충격이 더욱 큰데요.. 각본 , 제작 기간 다 통털면 4년에 제작비는 140~ 150억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드라마의 자체의 문제 보다는.. 종편 채널 브랜드의 실패라고 보는 견해가 우세합니다. 제품으로 말하면 브랜드런칭이 대박? 실패입니다. 특히 TV조선은 시작부터가 조선일보에 대한 대국민의 반감 정서에다가 종편 출발 부터 정치적으로 불거져서 브랜드 런칭 전부터 게임이 끝난 것이나 마찬가지였습니다. 암튼 종편 채널은 네거티브 .. 2012. 2. 8.
스마트폰 혁명과 정보 스트레스 최근 열풍인 스마트폰 혁명은 언제 어디서나 초고속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시대를 열며, 창의적인 개인들에게 새로운 모바일 장터와 기회의 땅을 열어주고 있다. 기계치에 PC의 응용 프로그램도 잘못 다루는 필자같은 소비자에게는 ‘앱스토어’에 애플을 올리는 사람들의 90%가 ‘인디(Indie)’라는 사실이 놀랍기만 하다. 최근 서점에 들러 ‘돈버는 모바일 아이폰 앱’이라는 책을 부랴부랴 사서 마침내 독파를 했다. 아주 작은 소액의 투자와 프로그램 툴을 다루는 지식, 그리고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있으면 주말을 이용해서 스마트폰 시대의 대박 부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책의 골자였다. 이처럼 전 세계 마켓이 작은 손 안에서 조용히 그러나 치열한 전쟁을 펼치고 있다. 더군다나 이 새로운 시장은 거대 자본의 논리가 먹히지.. 2012. 2. 8.
온라인 홍보시 떨쳐버려야 할 치명적인 유혹 3가지 홍보컨설팅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필자가 요즘 새롭게 듣는 질문은 포탈에 기사가 실리게 하는데 얼마나 비용이 드는가이다. 또한 출강하고 있는 대학교의 광고홍보학과 학생들에게 언론홍보기획안을 작성해 보라고 했을 때에도 격세지감이 드는 것이 매체전략에 포탈뉴스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것이다. 소비자들의 뉴스 소비패턴이 종잡을 수 없이 변하고 있으며, 매체 환경도 많이 변화하고 있다. 얼마 전 필자는 보드게임콘이라는 대한민국 최대의 보드게임 축제를 홍보한 적이 있다. 당시 예상 밖의 훌륭한 결과로 주말 공중파 9시 뉴스와 8시 뉴스 두 곳에 보도가 되었지만, 의외로 방송을 접한 사람이 많지 않았다. 주말 드라마는 열심히 시청해도 예전처럼 9시 뉴스를 꼭 보지는 않는 것이다. 뉴스 소비패턴은 그때 그때 다르다는 표현.. 2012.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