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Categories593 [용어사전] 이중구속의 딜레마 이중구속의 딜레마란? 이중구속의 딜레마(double –blind dilemma)는 어떤 부탁이나 요구를 할 때 상대방이 그에 저항할 것이 거의 확실하다면 상대방에게 선택권을 부여하는 전략이다. 예로, 부모 말을 안듣는 어린 자녀에게 “자기 전에는 이를 닦아야지”라고 일방적으로 지시하는 것보다는 “자기 전에 이를 먼저 닦을래, 아니면 잠옷을 먼저 갈아입을래?” 라고 묻는 것이 좋다. 이렇게 질문하면, 아이들은 부모말에 순종해서 이를 먼저 닦을 것인지 아니면 저항하여 잠옷을 먼저 갈아입을 것인지 사이에서 갈등하게 된다. 아이들이 부모에게 순응하려는 동기에 따르든(자기 전에 이를 먼저 닦는 것) 혹은 저항하려는 동기에 따르든(자기 전에 잠옷을 먼저 갈아입는 것) 간에 부모 입장에서는 자녀의 행동이 만족스러울 .. 2020. 2. 19. 거절당하지 않는 힘 ! 설득 커뮤니케이션 엿보기 설득은 채워가는 과정이 아니라 오히려 비워가는 과정이다 얼마 전에 "거절당하지 않는 힘" 이라는 책을 통해 설득에 대한 역발상? 노하우를 다시 한번 점검해보았습니다. 책에 대해서 잠깐 몇 줄 소개드리면, 로버트 치알디니 교수의 '설득의 심리학'의 후속편 같기도 한데요, 좀더 파고드는 예리함이 광고, 홍보, 마케팅 실무에 있는 분들이 읽으면 도움이 될 만한 책입니다. 저자인 한양대 광고홍보학과 이현우 교수님의 설득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론은 물론 소비자, 고객과 맞닥뜨리는 접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가 매우 유익합니다.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해서 다양한 것을 채워넣는 설득의 심리학 패러다임보다는 상대방의 저항을 줄이거나 비워내는 거절의 심리학 패러다임으로 이동해보자는 필자의 주장이 설득력이 있습니다... 2020. 2. 18. 소프트한 넓은 주제는 지역을 고려할 것_블로그 콘텐츠 기획(3편) 자, 이제 오늘 기획 포스팅 마지막 시간입니다. 블로그 운영에 조금 도움이 되셨나요? 지난 포스팅 블로그 콘텐츠 기획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 1,2편에 이서 마지막으로 3편을 올립니다 #LOCAL 소프트한 넓은 주제를 쓸 때는 지역을 고려한다 너무 회사의 제품이나 서비스 이야기만 하면 블로그가 삭막해지고 상업적으로 보여서 구독자는 피로감을 느낍니다. 이렇게 회사와 별 상관없는 다른 주제의 이야기가 필요할 때, 재미있고 가볍게 읽으며 지나갈 수 있는 맛집이나 여행 같은 카테고리 포스팅을 기획하게 됩니다. 이때 지역을 고려하면 좋습니다. 관공서나 중소기업은 본사나 지점이 있는 위치를, 오프라인 매장이 있는 B2C 기업은 그 매장이 있는 위치를 고려하여 홍보 사안을 발굴합니다. 여행/맛집 외에도 지역주민이 .. 2020. 2. 10. 블로그 방문자를 구체적으로 설정한다 _블로그 콘텐츠 기획(2편)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블로그 콘텐츠 기획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 (2편)을 올립니다. #TARGETING 블로그 방문자를 구체적으로 설정한다 가볍고 재미있는 주제를 다루는 것은 좋지만 너무 멀리 가서는 안됩니다. 예를 들어 어린이들이 즐기는 공간을 서비스하거나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을 파는 곳이라면 블로그 방문자를 엄마로 설정하고 글을 써야 합니다. 소프트한 주제도 엄마들이 자녀와 관련하여 관심 있을 학부모교육이나 아동심리 등에서 찾는 게 좋습니다. 물론 글의 메세지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맞아야 하겠죠? 아이들이 즐기는 서비스의 브랜드가 ‘다양성’에 많은 가치를 둔다면 ‘입시’같은 주제는 잘 맞지 않습니다. 호텔, 펜션 같은 숙박업소라면 어떨까요? 20~30대 솔로와 가족을 함께 타게팅 할 수 있을 .. 2020. 1. 31. 블로그 콘텐츠 기획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 - 1편 지금 블로그를 운영하고 계신가요? 제품과 회사를 알리고 싶어서, 혹은 고객과의 소통을 위해서 블로그 시작했을 텐데요. 꾸준히 양질의 콘텐츠를 올리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어떤 사람은 하루에 하나씩 포스팅을 올리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가지고 블로그를 시작합니다. 하지만 초반에 힘을 너무 뺀 나머지 한동안 블로그를 쉬기도 합니다. 작은 기업이라면 힘을 줘야 할 콘텐츠는 한 달에 한 번 정도로 하고 나머지는 가볍게 하면 포스팅하는 게 좋습니다. 블로그 운영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서 오늘은 블로그 콘텐츠를 기획할 때 참고하면 좋은 몇 가지 팁을 짚어 보겠습니다. #THE ARTICLE 블로그만이 가지는 텍스트의 매력 긴 글에 집중하지 못하는 모바일 세대 탓일까요? 인터넷에 게재되는 많은 글들이 점점 더 짧아.. 2020. 1. 22. 스트리밍 라이프, 2020년 트렌드 키워드(3) 오늘날, 모든 콘텐츠는 저장되지 않고 흐른다. 스트리밍은 이제 소비뿐만 아니라 삶의 모든 면으로 확장되고 있다. 한군데에 머물지 않는 사람들. 이들은 소유 대신 스트리밍을 통해 더욱 풀요로운 삶을 경험하고 싶어한다.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2020년 트렌드 키워드(2)로 '라스티핏 이코노미'를 다루었는데요. 세번째 트렌드 키워드로 스트리밍 라이프를 소개합니다. 스트리밍이란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이나 영상을 물 흐르듯 재생하는 기술입니다. 음악을 들으려고 할때 굳이 다운로드 받아서 소유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재생해서 듣는 것입니다. 스트리밍 라이프는 단지 음악을 듣는 방식을 넘어 삶의 방식이 바뀌고 있는 현상을 일컫는 키워드로, 소유권을 갖는 '오너십 라이프'에서 사용권을 갖는 '스트리밍 라이프'로의 변화라고 .. 2020. 1. 13.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