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랜딩41

[용어사전] 디토소비 디토소비 You Choose, I’ll Follow 디토‘Ditto’ 는 '나도'라는 의미로 나의 가치관과 취향을 오롯이 반영하는 사람, 콘텐츠, 유통 채널의 선택을 따라 하는 소비를 ‘디토소비’라고 합니다. 상품, 정보제공, 구매 채널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과잉시대에 수 많은 선택지에 직면하게 된 소비자들은 새로운 소비 방식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정보 탐색, 대안 평가 등 통상적인 구매 의사결정 과정을 생략하고 그냥 ‘나도’ ditto를 외치면서 특정 사람이나 콘텐츠, 커머스를 추종해 구매하는 것입니다. 예전에는 구매와 관련해서 누군가의 도움을 얻더라도 주로 '정보 탐색'의 단계에서 조언을 얻었다면, 디토소비의 의사결정에서는 필요 인식 단계부터 추종이 이뤄지는 것인데요. 예컨대 모자를 사기로 결정한 후 .. 2023. 11. 16.
40대 아재들을 위한 어덜트 스트리트 패션 '노아' Noah 스트리트 패션을 이야기할 때 사람들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브랜드는 아마도 '슈프림'일 것입니다. 1994년 뉴욕 소호의 동쪽 끝에 위치한 작은 스케이트보드 숍에서 시작한 슈프림은 루이비통·톰브라운·꼼데가르송 등 다양한 브랜드들과 콜래보레이션을 거듭하며 20여 년 만에 막강한 파급력을 가진 브랜드로 성장했습니다. “그냥 옷일 뿐 패션이라고 볼 수 없다”고 혹평하던 사람들에게 보란 듯이 미국 패션디자이너협회(CFDA)가 수여하는 가장 권위 있는 상인 ‘멘즈웨어 디자이너 상’을 수상했는데요. 스트리트 브랜드에서 이상을 수상한 건 슈프림이 처음이였습니다. 슈프림이 승승장구 할때 한쪽에서는 소비자의 다른 니즈가 떠오르고 있었습니다. 2000년대 슈프림을 입고 자라난 소년들이 어엿한 중년이 되었을때 그들이 딱히 입.. 2023. 2. 28.
편의점의 미래, 힙한 제품과 카페가 있는 '폭스트롯' 아마존의 태풍을 뚫고 2013년 미국 시카고에 혜성처럼 등장한 편의점이 있습니다. 당시는 골리앗 아마존발 태풍으로 수 많은 유통기업이 초토화되던 시기로 그 주인공은 '폭스트롯'입니다. 시어스, 토이저러스 같은 기업이 휘청거릴때 폭스트롯은 다윗처럼 살아남았고, 코로나 펜데믹 이후 성장세는 더욱 놀라울 정도입니다. 2020년 매출 전년 대비 2배이상 증가했고, 2021년 4200만 달러 외부 투자 유치에 성공하면서, 2023년까지 50개 매장 추가 오픈했습니다. 코로나 이후 실물 경기의 회복세가 완연해지는 분위기지만 경제 전체가 골고루 살아나기 보다는 중상류층의 소득을 가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그 이하는 소득이 정체되거나 오히려 줄어드는 'K자형 회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최고급 아니면 초저가를 내세운 .. 2023. 2. 13.
고객의 마음을 훔치는 브랜드 슬로건 생소한 브랜드일지라도, 브랜드에 담긴 진심과 철학을 잘 표현해줄 수 있는 슬로건을 잘 활용하면 소비자의 마음을 열 수 있습니다. 물론,  공허한 메세지가 아니라  해당 브랜드  슬로건을 뒷받침하는 실제적인 기업의 차별화된 서비스와 획기적인 사업모델이 뒷받침 되어야겠지요.  소비자의 마음과 시선을 붙잡는 브랜드 슬로건 사례  몇가지 소개드립니다.   가능성을 배달한다  미라클 쿠리어즈Mirakle couriers  의 브랜드 슬로건입니다.    미라클 쿠리어스는  2009년 인도 뭄바이에서 설립된 배달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회사인데요.   왜 미라클 일까요?  기적을 의미하는 miracle의 c를 K로 바꿔 상표등록을 했습니다.   직원 중 관리직 몇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수십명의 직원들이 모두 청각장애인.. 2022. 12. 12.
도시인에게 자연의 '로망'을 파는 아이스박스 브랜드 , YETI 예티 브랜딩에 있어서 제품의 차별화 포인트를 찾아내는 작업은 매우 중요한데요. 패션이나 뷰티 브랜드가 감성적인 영역을 중시한다면, 일상용품이나 첨단 서비스, 전자기기 같은 경우 제품의 편익을 설명하는데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품의 기능적 편익을 부각하는 것은 예를 들어, ' 더 저렴하다, 더 편리하다, 더 안락하다, 몸에 더 잘맞는다. 고객서비스가 낫다.구매경험이 더 간단한다. 더 건강하다, 더 체계적인 생활을 도와준다 '등 기존의 무언가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강조하는 전략입니다. 브랜딩에 있어서 제품의 기능적인 편익만 강조하다보면, 소비자들의 호감을 얻기는 고사하고 관심을 끄는 것도 실패할 수 있습니다. 너무 뻔하고 이런 메세지가 친숙해서 새롭지 못하기 때문인데요. 기능적 편익을 강조하더라도 전체를 아.. 2022. 9. 21.
꾸안꾸 메이크업의 선구자 <글로시에 >의 브랜드 핵심 아이덴티티는 무엇일까요? 창업자가 브랜드의 핵심 아이덴티티인 Glossier. 밀레니얼 세대의 '에스티 로더(Estee Lauder)'라고 불리는 글로시에 브랜드는 2014년 말 론칭한 이래 매년 세 자릿 수 이상의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전 세계에서 가장 핫한 화장품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이 기업의 브랜드 가치가 무려 1.2조원이라니? 화장품계의 코카콜라입니다. 화장을 한 듯 안 한 듯한 '꾸안꾸 메이크업'의 대표 브랜드 '글로시에'는 창업자와 함께 성공을 거둔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글로시에는 에밀리 와이즈라는 젊은 여성이 유명한 패션 잡지에서 일했던 경력을 바탕으로 블로그를 만들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에밀리 와이스는 보그, 더블유에서 일한 경력을 바탕으로 2010년 블로그 를 만들었는데요. 패션 모델과 뷰티 및 화장품 업계의.. 2022. 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