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189

[용어사전] 디드로 딜레마 디드로 딜레마란? '디드로 효과'라고도 명명함. 소비가 또 다른 소비를 부르는 욕망의 추구가 만족 대신 또 다른 욕망을 낳는 이율배반적인 상황이다. 새로운 물건을 사면 그 물건과 관련된 물건을 또 원하게 되는 것으로 새옷을 사면 이에 어울리는 가방을 사고 싶고 , 또 가방을 사게 되면 새로운 구두를 원하게 되는 이치이다. 18C 프랑스 대표적인 철학자 드니 디드로의 개념에서 용어가 유래되었으며, 그는 계몽주의 철학을 집대성한 철학자로 유명하다. 디드로 효과는 "디드로 통일성" 혹은 "제품간 연결성"이라고 불리는 물체간의 상호작용의 결과가 소비자에게 느껴지는 사회현상이다. 디드로 통일성은 어떤하나가 다른 하나와 문화적 연결성을 가지고 묶음으로서 어울리는 경향이다. 예를 들어 어떤 복장, 가구, 자동차등등에.. 2016. 4. 6.
인터넷 세상의 자아찾기 : 온라인에서 나를 브랜딩하기 책의 저자는 그 유명한 페이스북 마크 주커버그의 누나이자 하버드대 심리학을 전공한 랜디 저커버그입니다. 그녀가 페이스북 설립 초기에 마케팅에서 부터 각종 사업 제휴, 홍보 담당으로 페이스북 성장을 이끌어낸 주역이라는 점이 이 책을 펼쳐들게 했습니다. 이 책을 통해 페이스북 이전 시대와 before와 이후 시대 after를 자연스럽게 비교해볼 수 있다는 점도 흥미롭습니다. 워킹맘으로 심리학자로 그녀가 소셜미디어를 바라보고, 지금의 페북을 있게 한 장본인이 들려주는 이야기기에 더욱 흥미롭네요. 랜디 저커버그는 하버드의 화려한 스펙을 뒤로하고 졸업 후 첫 직장을 광고 업계로 시작합니다. 오길비에서 인턴 사원으로 사회 생활의 첫걸음을 떼었는데요. 이곳에서 그녀는 창의성 발현 보다는 광고회사라는 거대한 조직의 한.. 2016. 3. 20.
[용어사전] 스트라이샌드 효과 스트라이샌드 효과 마이크 매스닉(Mike Masnick)이 만들어낸 신조어로 정보가 널리 퍼지지 않기를 바란다면 삭제 요청 대신 조용히 그대로 있어야 한다는 것. 이를 문제 삼으면 불에 기름을 붓게되는 행위가 되며 역설적으로 더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된다는 이론이다. 유명 팝가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Barbra Streisand가 자신의 저택 사진이 인터넷에 공개되자 이를 지우기 위한 소송을 걸었다가 대중들의 관심을 끌어 오히려 해당 사진의 노출을 더 확산시킨 결과과 된 사건이 '스트라이샌드 효과'로 불리게 됨 2003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가 사진가 케네스 아델만(Kenneth Adelman)과 픽토피아닷컴(pictopia.com)에게 5000만 달러의 소송을 제기했다. 이 소송에서 그녀는 자유롭게 사용할.. 2016. 3. 18.
스포트라이트 ~ 미디어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영화 아동학대가 뜨거운 이슈로 미디어에 자주 등장하는 요즘 , 미국 메이저 언론사를 배경으로 아동 성폭력이라는 묵직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영화 '스포트라이트'를 얼마 전에 보았습니다. 2016년 아카데미 2개 부분 수상, 최우수 작품상, 각본상이라는 화려한 홍보 타이틀에 끌리기도 했는데요. 배우들의 연기도 감동적이고, 영화를 보면서 결국 모든 문제와 결론은 사회를 이루고 있는 모든 일원에게 책임이 있다는 .. 애들을 키우는 것도 공동 책임이며, 아이들을 학대하는 것도 마을의 공동 책임이다 이웃에 대한 무관심과 이기심은 사회 약자에게 폭력으로 가해지고, 거대 권력을 지닌 '교회'와 '미디어'가 자기 책무를 다하지 못할 때 어떤 끔찍한 일이 생기게 되는지 생생하게 목격하게 합니다. 가 실제 2002년 카톨릭 교회.. 2016. 3. 7.
알랭드보통의 뉴스의 시대 『뉴스의 시대』. 뉴스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 할 모든 것 구정 연휴를 앞두고 일독을 추천하는 책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부제를 '철학자가 말하는 뉴스에 관한 모든 것'이라고 붙이고 싶군요. 알랭드보통은 이라는 책을 통해 처음 접한 작가입니다. 최근에는 JTBC 뉴스데스크 인터뷰에 나와서 국내에서도 이름을 널리 알리고 대중적인 횡보를 더해가고 있는데요. 다방면에 호기심과 해박한 지식을 보유한 저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뉴스를 홍보적인 관점에서 보면 끊임없는 PR활동의 결과로 나타나지는 즉 언론홍보의 산물의 일부분이기도 한데요. 저자는 뉴스가 충분히 호소력 있는 방식으로 사건 또는 사안을 보여주도록 노력하는 일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책의 목차에서 가장 관심있는 Chapter는 와 였습니다. PR에서 셀러브.. 2016. 2. 4.
[용어사전 ] B 코퍼레이션 B코퍼레이션 (Benefit Corporation) 비영리단체인 B Lab의 제안으로 시작된 B코퍼레이션은 주주 이익이 아니라 공공의 이익을 구하는 '착한 기업'임을 정부로 부터 인증 받은 기업을 말한다. 영리와 비영리기업의 중간에 위치한 기업으로 주주를 위한 기업이 아니라 환경과 직원, 지역사회, 소비자를 아우르는 모든 이해관계자를 위한 기업이다. B코퍼레이션은 미국 초기 주 정부들이 항만, 다리 , 도로와 같은 공공 인프라 건설에 인허가를 준 기업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를 회사의 주주는 이익을 배당 받을 수 있지만, 배당의 적합성은 얼마나 공익 증진에 이바지 했느냐로 판단한다. B코포레이션 기업은 물론 영리를 추구할 수 있지만 법적으로 아래 세 가지 요건을 충적해야 한다. B코퍼레이션이 되기 위한 .. 2015.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