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189

전술이 전략을 결정한다 , 보텀업마케팅 Bottom-up Marketing 뭐지? 우리가 알고 있는 개념.. 즉 전통적인 마케팅이 톱다운 top-down Marketing 방식이라는 데에서 출발합니다. 즉 기업이 전략을 먼저 결정하고, 전략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전술을 구사하는 마케팅입니다. 홍보, 브랜드 컨설팅 분야에서 일하는 동안 많은 고객들에게 큰 틀의 전략을 강조해왔던 필자의 입장에서는 뭔가 크게 한대 맞은 기분이 드는 제목이였습니다. 어떻게 보면 한번쯤은 마케팅의 대가들이 주장하는 기본적인 개념이지만 의문을 가져보거나 역발상을 해봤어야하는게 아니였나 자책도 듭니다. 그런 맥락에서 이 책에서 주장하는 개념들이 요목조목 설득력이 있었습니다. 특히 시대적인 흐름.. 트렌드는 빠르게 변하고 경쟁은 치열해지고, 수많은 브랜드들이 생겨나고 사라지.. 2017. 5. 11.
티스토리 초대장 10분께 배포합니다. 벚꽃이 다 떨어지고 있네요~ 아, 이렇게 우리는 한 살 씩 먹고있는가 봐요. ㅠㅠ 에구 의미없당. 티스토리 초대장이 필요하신 분 계신가요? 원하시는 분은 댓글에 E-mail 주소를 남겨주시면 초대장을 보내드립니다. 남겨주실 때에는 꼭 비밀댓글로 남겨주세요! 초대장을 보내드리고 바로 개설하시지 않으신 분들은 초대장을 회수할 수도 있으니 바로 개설해주세요! 2017. 4. 20.
[서평]통찰력 단련을 위한 책, 학문잡식 단 한 권의 책 밖에 읽지 않은 사람을 경계하라 - 벤저민 디즈레일리 책 읽기를 게을리하지 않고 매일 신문도 열심히 보는데, 머릿 속에 쌓이는 지식은 없고 온통 산만하다구요? 은 매일 새롭게 쏟아지는 정보와 뉴스에서 헤엄치고 있는 현대인들을 위한 지침서로 일본의 경영컨설턴트이자 애널리스트 나카하라 게이스케가 저술한 책입니다. 저자는 학문 잡식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통찰력도 제대로 된 지식도 없을 수 없다고 단언하는데요.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힘은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 라는 질문으로 책을 열고 있습니다.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보지 못하는 원인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지식의 절대량의 부족 둘째는 지식을 조합해내는 능력의 결여입니다. 이 두 가지 영역을 보완한다면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보는 통찰력.. 2017. 1. 27.
[용어사전] 하인리히의 법칙 하인리히의 법칙 Heinrich’s Law 대형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그와 관련하여 수많은 징후가 되는 자잘한 사고들이 존재한다는 이론이다. 하인리히는 7만 5000건의 산업재해를 분석해 보았는데, 하나의 대형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같은 원인으로 29번의 작은 재해가 발생했고, 또 그 작은 재해가 발생하기 전에 운 좋게 재해는 피했지만 재해로 연결될 뻔한 사건이 300번 정도가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하인리히 법칙은 1: 29: 300 법칙으로도 불린다. 하인리의 법칙이 의미하는 것은 어떤 일이든 중간 중간에 작고 사소한 일들을 점검하고 개선하지 않는다면 결국 큰 사건이나 사고로 연결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300번의 징후를 무시하지 않는다면 29번의 작은 재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고, 29번의 작은.. 2017. 1. 23.
[서평] 말 잘하기에 관한 책 "막힘없이 말하는 사이다 스피치를 위한 말공부 책" 말을 잘한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분명히 화려한 입담을 자랑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언변이 화려한 사람의 이야기는 핵심 줄거리나 이야기의 토대가 다소 빈약해도 말하는 이의 말투, 표정, 강약 조절 등으로 귀와 눈을 사로잡게 됩니다. 아직도 3명 이상 여러 사람이 모인 곳에서 말하려면 좀 긴장되고 입이 안떨어지는 필자같은 유형의 사람들은 나이가 먹어도 말하기는 큰 과제입니다. 는 올해 9월에 나온 아직은 따끈한 시간입니다. 이 책에서는 말을 잘하려면 일단 머리 속에 다방면의 지식과 정보가 있어야 하고, 상대방이 관심있는 주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그리고 세부적으로는 말 잘하기 스킬 향상으로 책을 빠른 속도로 낭독하는 것과 대본을 외워서 온.. 2016. 12. 27.
[용어사전] 브랜드 스위트 스팟 브랜드 스위트 스팟 Brand Sweet Spot 이란? 브랜드가 고객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접점을 의미한다. 고객과 공감할 수 있는 스위트 스팟은 고객들의 삶과 자아 개념에 중심이 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자신이 누구인지를 드러내 주는 관련 문제들과 관여 사항을 표현하고, 고객의 라이프를 구성하는 요소를 찾아낼 필요가 있다. #스위트 스팟을 찾아내기 스위트 스팟을 찾아내는 방법은 현재의 헌신적인 고객들을 살펴보면 답이 있다. - 왜 그들은 그토록 가장 애정을 보여주는 것인가? - 중요한 사실은 고객 집단에게 배우기보다는 고객 개인들에게 배워야 한다는 점이다. - 브랜드가 어떻게 고객의 자아 개념과 생활 방식에 연결되어 있는가? - 고객의 가치와 신념, 활동과 관심사 그리고 고객이 소유하고 있는 것.. 2016.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