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189 당신의 말은 당신을 닮았다 말이라는 것은 기술, 테크닉이 아니라 매일매일 쌓아 올려진 습관에 가깝다 "당신의 말에 당신의 그릇이 보인다" 편하고 가까운 관계일수록 말의 경계는 무너지기 쉬운데요, 관계는 통제의 언어로 지속되기 어렵습니다. "진심으로 충고할게, 너 그렇게 살지마." "...내가 문제라는 것은 알고 있어." "아니! 넌 아직도 정신 못 차렸어." “깨끗하게 정수된 물이라도 수도관이 녹슬어 있다면, 수도꼭지로 녹슨 물이 쏟아진다” 말을 통해서 다음의 세 가지 종류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1. 나 자신과의 연결 2. 타인과의 연결 3. 세상과의 연결 사람의 마음은 나의 안쪽 어딘가에서 떠돌고 있는 말을 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는 사람을 만났을떄 열리게 됩니다. 저절로 주어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말을 그렇게 .. 2018. 2. 7. [용어사전] 보떼슈머 보떼슈머란? beautesumer 보떼슈머 beautesumer는 Beauty와 consumer를 합성한 말로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소비자를 말한다. 현대 소비자들은 자신의 아름다움에 투자하는 것은 물론이고 구매하는 상품에서도 심미적 만족을 중시한다는 것. 아름다움은 이제 단순히 디자인이나 미학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을 끌어 당길 수 있는 매력으로 진화하고 있다. 미래학자 다니엘 핑크는 마케팅에서 디자인, 융합, 이야기, 공감, 흥, 의미 같은 우뇌적 측면이 중요해진다고 말하고 있다. ※ 관련용어 모디슈머 : modisumer 이미 만들어진 제품을 자기 방식대로 재창조해서 사용하는 소비자 아트슈머 : artsumer 예술적 가치를 소비에 활용하는 소비자 2017. 12. 5. [용어 사전] 푸어 독 poor dogs 및 기업 형태 네가지 유형 보스턴컨설팅 그룹에 의한 기업 형태 네 가지 구분 푸어 독 poor dogs : 불쌍한 개란 뜻으로, 아직 혹은 더 이상 제대로 달리지 못하는 기업 퀘스천마크 question marks : 이미 어느 정도 성장하고 있지만, 포기해야 할지 아니면 전력을 다해 투자해야 할지 결정을 내려야 하는 기업 스타 stars : 최근의 구글이나 이베이처럼 높은 시장 점유율과 성장률을 보이는 기업 캐시카우 cash cows : 높은 시장점유율과 이윤율을 보이고 있으나 성장률은 낮은 기업 보스턴컨설팅 그룹에서는 위의 구분으로 모든 기업에 대한 컨설팅 원칙을 세우는 지표로 삼았다. 위의 기업을 사람으로 비유하면, 푸어 독은 '아이'와 '정년퇴직 직전' 처럼 처음과 마지막을 의미하고, 퀘스천마크는 많은 가능성이 열려있는 '청.. 2017. 10. 12. 하남시 멀티샵 쉬즈짐머를 가다 주말에 하남시에 있는 멀티샵 쉬즈짐머를 방문했습니다. 여자들이 좋아할 만한 테이블웨어와 패브릭, 그리고 각종 인테리어 제품들이 있었습니다. 멀티샵이라는 이름에 맞게 없는게 없었습니다. 토탈 패션? 편집 숍? 라이프 매장? 90년대 이후부터 많이 생겼는데요, 이렇게 외곽에도 카페보다 멋진 가게가 있네요. 어떤 분위기인지 한 번 살펴볼까요? 분위기가 대략 짐작이 가시나요? 역시 가장 인상적이었던것은 테이블 웨어였습니다. 나무도마, 컬러유리, 찻잔, 후라이팬 등 너무 예쁜게 많았어요. 아, 여기는 주부들의 천국인가요? 북유럽스타일은 세대와 상관없이 꾸준히 인기가 있는 것 같습니다. 키친 쪽 제품은 컬러풀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컨셉을 추구하고 있네요. 숍 전체적으로 모던한 인테리어에 자연주의와 클래식이 살짝 혼합이.. 2017. 6. 29. 티스토리 초대장 배포합니다. 10분께 드립니다~ (배포 완료!) 안녕하세요~ 더피알컨설팅에서 티스토리초대장을 배포합니다. 블로그를 예쁘게 운영하고 싶으신 분들 오세요~ 선착순 10분께 초대장 드립니다. 원하시는 분은 댓글에 E-mail 주소를 남겨주시면 초대장을 보내드립니다. 남겨주실 때에는 꼭 비밀댓글로 남겨주세요! 초대장을 보내드리고 바로 개설하시지 않으신 분들은 초대장을 회수할 수도 있으니 바로 개설해주세요! 2017. 6. 8. [용어사전] 스놉효과 스놉효과란? 이미 많은 사람들이 무언가를 사용하거나 가졌다면 새로 진입한 소비자들은 그것을 구매하거나 사용하는 것에 흥미를 덜 느끼게 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차별화' 욕구로 다른 사람과 다른 것을 주문하기를 원하는 심리이며 너무 많은 사람들이 선택한 것을 꺼리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차별화 욕구 때문에 자신을 조금 더 특별하게 느끼게 해주는 선택에 중점을 두게 된다. 유행이 너무 과도해질때 이에 대해서 사람들이 흥미를 잃게 되는 심리의 기저라고 할 수 있다. 2017. 5. 23.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