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189

[책 서평] 세상에 파고든 유혹의 기술, 브랜드 이 책은 영국의 브랜딩 전문가인 윌리 올린스의 저서로, 브랜드에 깃든 가치와 브랜드가 발휘할 수 있는 힘에 대해 사유할 수 있게 하고, 더 나아가 도처에 널려 있는 브랜드를 읽을 수 있도록 돕는 책이다. 요즘 세상에는 모든 영역에 브랜드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동차, 의류, 주류 등 소비재 영역 뿐 아니라 최근에는 공공기관이나 지자체, 교육기관, 비영리기관에 이르기까지 브랜딩 영역이 다양한 분야로 퍼지고 있고, 브랜딩에 대한 열기도 뜨겁다. 다양한 브랜드가 얽히고 설켜 세상이 운행되고 여론이 조성되며, 많은 사람들이 브랜드를 위해, 브랜드와 함께 일한다. 브랜드가 단순히 마케팅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시대는 지났고, 이제 브랜드는 사회문화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할 수도 있고 개인과 단체로 하여금 자신의.. 2013. 11. 12.
[책 리뷰] Made in 브랜드 야마다 도요코 지음/ 디플 는 대표적인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 에르메스, 샤넬 3가지 브랜드를 통해 브랜드의 탄생의 순간을 파헤치고 그 기원의 비밀을 캐내어 브랜드의 본질을 재조명하는 책입니다. 같은 명품이지만 추구하는 전략은 다릅니다. 에르메스 유행과는 동떨어진 입장, 영원성에 중점을 두고, 샤넬은 시대에 편승하는 트렌드 추종 방식, 계절별 매혹을 팔고 있지요. 에르메스와 샤넬은 19세기와 20세기.. 그리고 유럽형 자본주의와 미국형 자본주의를 상징합니다. 루이비통과 에르메스는 유럽을, 샤넬은 미국을 대표하는 시대적인 브랜드로 각기 19세기와 20세기의 브랜를 열게됩니다. 20세기 브랜드 '샤넬'은 대중의 힘을 배경으로 태어났고 대중과 호흡을 같이합니다. 일본인 저자 야마다 도요코는 브랜드의 본질을 살.. 2013. 11. 4.
[용어사전] 백색소음 백색소음이란? 귀에 쉽게 익숙해지기 때문에 거의 작업에 방해되지 방해도지 않으며, 오히려 거슬리는 주변 소음을 덮어주는 작용을 한다. 에어컨이나 공기청정기 등 각종 전기 제품의 소음, 파도소리, 빗소리, 폭포 소리 등 이 이에 해당한다 2013. 10. 4.
[용어사전] 메트컬프 법칙 메트컬프 법칙이란?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지면 유지비용은 점차 줄어들지만 네트워크의 가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설명한다. 전화기 2대가 있는 네트워크의 연결 기회는 2회에 불과하지만 5대의 경우 20회, 12대는 132회로 늘어난다. 이를 수식으로 정리하면 V(가치) = n(사용자수) X (n-1)이다. 사용자가 크게 늘면 V = N² 에 가까워진다. *참고자료: SNS기업 성장법칙의 부활 (2013-9-30 동아일보) 2013. 9. 30.
[용어사전] 데이터 잔해 데이터 잔해 (data exhaust) 데이터 잔해는 사람들이 세상에서 활동하고 움직이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떨구고 가는 데이터를 말한다. 웹서핑에서는 어디를 클릭하고 , 특정 웹페이지를 얼마나 오래 보는지, 마우스 커스는 어디에서 배회하는지, 무엇을 타이핑하는지 이런 것들을 말한다ㅣ. 구글은 데이터 잔해를 유용하게 사용한 선두적인 기업이다. 구글은 데이터에서 배운다는 원칙을 서비스 전반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모든 동작을 분석해서 시스템에 피드백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들이 특정 단어 및 그와 연관된 단어를 얼마나 많이 검색했는지, 그리고 하나의 링크를 클릭했다가 별 댜른 내용을 발견하지 못하고 다시 돌아가 검색하는 경우가 얼마나 자주 있는지를 모니터링한다. 특히 검색결과에서 이용자들이 자주 화면의 .. 2013. 9. 24.
[책 서평 ] 빅데이터가 만드는 세상 요즘 심심찮게 접하는 용어 중 하나가 '빅데이터'이다. 빅데이터가 따로 설명이 필요 없을것 같으나, 빅데이터란 용어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핫 키워드로 등극한 진위가 궁금하여, 뽑아는 책이 이다. 이 책이 담고 있는 큰 맥락과 진단의 충격은 앨빈 토플러의 과 를 읽고난 후와 거의 맞먹었다. 현재는 물론 빅데이터가 어떻게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바꾸게 될지.. 그리고 비즈니스 현장에서 더욱 부상하게 될 빅데이터의 가치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에 종사하는 1인으로서 빅데이터는 그리 낯선 개념은 아니다. '팩트'와 '여론'이 중요한 PR에서 '리서치 PR'은 고차원적인 커뮤니케이션 기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PR의 이러한 원리와 빅데이터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 2013.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