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이트294

의미있고 독특한 브랜드 경험을 소비자에게 선사하는 방법 모든 조직에 있어서 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한 열쇠는 눈에 띄는 브랜드 경험을 창조하는 것인데요. 브랜드 메세지를 알릴 수 있는 채널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기회'일 수도 있지만, 한정된 마케팅 예산으로 소비자와 소통해야하는 작은 기업들에게는 강렬하고 응집력 있는 브랜드 경험을 구축하는 것이 부담스러운 상황이기도 합니다. 브랜드 경험은 이해관계자가 브랜드 접점에서 브랜드와 정서적으로 관계를 맺게되면서 생겨납니다. 대런콜먼에 따르면 브랜드 경험은 '신중하게 배열하고 동기화하고 엄선한 접점들'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해관계자는 '고객'의 범위를 넘어서는 '지역공동체', '직원', '공급사'를 비롯한 다양한 사람들이 들어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고객의 브랜드 경험을 넓혀주기 위해서 접근할 수 있는 3가지 방.. 2020. 4. 1.
콘텐츠 마케팅, 제대로 성과를 내려면 ?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블로그 SNS운영의 핵심은 콘텐츠 기획입니다. 치밀한 콘텐츠 전략 없이 팬을 모으고 제품을 홍보하고, 이벤트를 진행하는 것은 기대만큼의 마케팅 성과를 거두기 어렵습니다. 중소기업에서 SNS홍보팀을 꾸리고, 콘텐츠를 직접 제작해 본 경험이 있다면 잘 아실텐데요. 콘텐츠 마케팅은 기획부터 제작 그리고 유통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게 됩니다. 작은 규모의 회사에서는 웹디자이너 한 명을 채용해서 SNS 채널을 운영하게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마케터 역할과 콘텐츠 기획까지 디자이너 혼자서 오롯이 감당하려면? 성과를 크게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브랜드의 개성과 장점을 살려주는 콘텐츠 마케팅 어떻게 접근해야할까요? SNS채널 운영의 핵심인 콘텐츠는 우리 고객이 누구인지 그들을 명확하.. 2020. 3. 3.
일상을 담은 브이로그, 왜 인기일까요? 코로나19 확진자가 계속 증가하면서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를 피하고 각자 위생관리에 철저하게 대비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위기 극복을 위해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할 때인데요. 이래저래 외출이 아무래도 힘들다 보니 주중은 물론 주말에도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자연스럽게 늘어나게 되는군요. 요즘에는 관심주제를 유튜브에서 검색해서 동향을 살피는데요, 다양한 소재의 유익하면서도 재미있는 콘텐츠가 많아진 것 같습니다. 그 중 하나가 브이로그 형식의 영상 콘텐츠인데요. 브이로그(V-log)는 비디오 Video와 블로그 blog가 합쳐진 말로, 한마디로 영상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방송 콘텐츠에 빗대면, 인간극장이나 미니 다큐멘터리가 비슷하고, 영화로 비유하면 단편영화와 같습니다. 유튜브에서 브이로그라고 검색하.. 2020. 2. 26.
거절당하지 않는 힘 ! 설득 커뮤니케이션 엿보기 설득은 채워가는 과정이 아니라 오히려 비워가는 과정이다 얼마 전에 "거절당하지 않는 힘" 이라는 책을 통해 설득에 대한 역발상? 노하우를 다시 한번 점검해보았습니다. 책에 대해서 잠깐 몇 줄 소개드리면, 로버트 치알디니 교수의 '설득의 심리학'의 후속편 같기도 한데요, 좀더 파고드는 예리함이 광고, 홍보, 마케팅 실무에 있는 분들이 읽으면 도움이 될 만한 책입니다. 저자인 한양대 광고홍보학과 이현우 교수님의 설득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론은 물론 소비자, 고객과 맞닥뜨리는 접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가 매우 유익합니다.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해서 다양한 것을 채워넣는 설득의 심리학 패러다임보다는 상대방의 저항을 줄이거나 비워내는 거절의 심리학 패러다임으로 이동해보자는 필자의 주장이 설득력이 있습니다... 2020. 2. 18.
소프트한 넓은 주제는 지역을 고려할 것_블로그 콘텐츠 기획(3편) 자, 이제 오늘 기획 포스팅 마지막 시간입니다. 블로그 운영에 조금 도움이 되셨나요? 지난 포스팅 블로그 콘텐츠 기획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 1,2편에 이서 마지막으로 3편을 올립니다 #LOCAL 소프트한 넓은 주제를 쓸 때는 지역을 고려한다 너무 회사의 제품이나 서비스 이야기만 하면 블로그가 삭막해지고 상업적으로 보여서 구독자는 피로감을 느낍니다. 이렇게 회사와 별 상관없는 다른 주제의 이야기가 필요할 때, 재미있고 가볍게 읽으며 지나갈 수 있는 맛집이나 여행 같은 카테고리 포스팅을 기획하게 됩니다. 이때 지역을 고려하면 좋습니다. 관공서나 중소기업은 본사나 지점이 있는 위치를, 오프라인 매장이 있는 B2C 기업은 그 매장이 있는 위치를 고려하여 홍보 사안을 발굴합니다. 여행/맛집 외에도 지역주민이 .. 2020. 2. 10.
블로그 방문자를 구체적으로 설정한다 _블로그 콘텐츠 기획(2편)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블로그 콘텐츠 기획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 (2편)을 올립니다. #TARGETING 블로그 방문자를 구체적으로 설정한다 가볍고 재미있는 주제를 다루는 것은 좋지만 너무 멀리 가서는 안됩니다. 예를 들어 어린이들이 즐기는 공간을 서비스하거나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을 파는 곳이라면 블로그 방문자를 엄마로 설정하고 글을 써야 합니다. 소프트한 주제도 엄마들이 자녀와 관련하여 관심 있을 학부모교육이나 아동심리 등에서 찾는 게 좋습니다. 물론 글의 메세지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맞아야 하겠죠? 아이들이 즐기는 서비스의 브랜드가 ‘다양성’에 많은 가치를 둔다면 ‘입시’같은 주제는 잘 맞지 않습니다. 호텔, 펜션 같은 숙박업소라면 어떨까요? 20~30대 솔로와 가족을 함께 타게팅 할 수 있을 .. 2020. 1. 31.